국제조사단 “박근혜정부때 집단탈북 여종업원들…납치된 것” 결론

입력 2019-09-06 06:00
지난 2016년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들이 탈북해 입국하는 모습. 통일부 제공

박근혜정부 시절 일어난 북한 해외식당 여종업원 집단탈북 사건을 조사중인 국제진상조사단이 5일 자진 탈북한 것이라 아니라 실제로는 남한측에 의해 납치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AFP통신은 변호사들로 구성된 ‘북 해외식당 종업원 기획탈북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제진상조사단’은 성명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날까지 평양에서 머물면서 탈북 여종업원 가족들과 당시 남한으로 오지 않았던 다른 북한 여종업원 등을 만나 진상을 조사했다.

조사단은 성명에서 “7명의 전직 여종업원들과 대화했다”며 “이들은 당시 동료들이 서울로 납치됐고 자신들은 가까스로 탈출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들 7명은 당시 자신들의 팀장이 남한 정보 당국자와 식당 매니저가 나누는 대화를 엿들은 덕에 납치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고, 결국 탈출해 북한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고 증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단 변호인들은 “이들이 탈출하는 동안 다른 12명의 여종업원은 남한으로 납치되는 줄도 모르고 먼저 떠나갔다”며 “사기를 당한 이들 12명은 그들의 의지에 반해 가족과 국가로부터 격리됐다. 이는 유괴죄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변호인 중 한 명은 이 사건을 처리한 남한 정부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북한은 진상조사에 완전히 협조했지만 남한은 12명 북한 여종업원과의 만남도 허가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그는 “이들 12명이 여전히 한국 정보기관과 경찰의 감시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사단은 이달 말까지 최종 보고서를 마무리하고 이를 유엔에 보고하겠다는 입장이다.

북한 해외식당 여종업원 탈북사건은 박근혜정부 시절인 지난 2016년 4월 8일 통일부가 13명의 탈북 사실을 발표하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당시 통일부는 신변 문제 등의 이유로 탈북자 관련 정보를 공표하지 않는 관례도 깼다. 이들 13명 탈북자들의 사진도 공개됐다. 제20대 총선을 불과 닷새 앞둔 시점이었다. 여권의 선거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국가정보원(국정원)이 기획탈북을 획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북한은 “남한 국정원이 조작한 집단적 유인 납치행위”라고 반발했고, 남한은 “이들이 자유 의지를 갖고 탈출했다”고 주장하며 맞섰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