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초3·중1, 내년부터 기초학력 진단 평가 받는다

입력 2019-09-05 16:41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왼쪽)이 5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브리핑실에서 '2020 서울 학생 기초학력 보장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부터 서울의 초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기초학력 진단검사가 실시된다. 기초학력 부진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초2 집중학년제’ 운영도 이뤄진다.

서울시교육청은 5일 이런 내용의 ‘2020 서울 학생 기초학력 보장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은 내년 3월 중 1차 진단에서 읽기·쓰기·셈하기 능력을, 중학교 1학년 학생은 읽기·쓰기·셈하기에 교과학습능력(국어 영어 수학)까지 검사를 받는다.

1차에서 학습 부진이 드러나면 2차로 비언어성 지능검사, 정서·행동특성검사, 한국어읽기검사(KOLRA) 등 심층진단을 받는다. 2차 진단에서도 심각한 학습부진으로 추정되는 학생은 서울학습도움센터 난독·경계선지능 전담팀의 전문적인 검사와 전문가 진단(3차 진단)을 받게 된다.

진단 결과는 평소 학습태도 등에 대한 분석과 함께 보호자에게 통지된다. 교육청은 학업난이도가 높아지는 초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1학년 때가 기초학력 조기 진단을 할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중3·고2 대상)’에서 기초학력미달학생 비율이 높다는 지적에 따라 나온 것이다. 해당 평가에서 수학의 경우 중학생 11.1%와 고등학생 10.4%가 기초학력 미달로 나타났다. 국어는 중학생 4.4%와 고등학생 3.4%가, 영어는 중학생 5.3%와 고등학생 6.2%가 기초학력에 못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교육청은 보다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기초학력 보장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 올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교육계 토론 및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이번 대책을 세웠다.

기초학력진단 평가에 있어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은 진단 결과가 학교 밖으로 유출돼 학교 서열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다. 교육청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교원과 학부모단체가 참여하는 ‘기초학력 정책모니터위원회(가칭)’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교육청은 ‘일제고사’가 될 수도 있다는 교육계의 지적을 받아들여 교사나 학교가 평가 진단도구를 직접 결정토록 했다. 아울러 평가 결과를 교육청이 별도 제출받거나 학교별로 비교하지 않기로 했다.

기초학력 부진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초2 집중학년제’는 교사 관찰 및 상담, 전년도 담임과의 성장이력 공유, 과정중심평가 연계 운영 등을 통해 학생의 읽기·쓰기·셈하기·관계성 능력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후 기초학력부진이 의심되면 서울학습도움센터의 전문가 그룹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하고, 기초학력 보정프로그램, 맞춤형 인력 등 통합지원을 받게 된다.

기존 초등학교에만 지원됐던 ‘기초학력책임지도제 예산’을 모든 중학교에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교육청은 올해 86억원이었던 기초학력향상 지원 예산을 내년 약 250억원으로 확대 편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학생들이 사회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지적성장을 이루게 한다는 공교육 핵심과제에 공백이 있음을 느끼고 이를 보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3월까지 교육계와 꾸준한 협의를 통해 대책을 가다듬고, 모든 아이들이 아름답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