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10월 무역협상 재개’…中 “경제 하방 압력 가중” 위기감 강조

입력 2019-09-05 15:51 수정 2019-09-05 16:55

미국과 중국이 오는 10월 고위급 무역 협상을 재개하기로 함에 따라 상호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벼랑 끝으로 치닫는 양국 무역 갈등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중 무역 협상의 중국 측 대표인 류허 부총리는 5일 오전 미 협상대표단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및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통화에서 10월 초 워싱턴에서 제13차 미·중 경제무역 고위급 협의를 갖기로 합의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양측은 통화에서 이달 중순 실무진 협의를 통해 고위급 협상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충분한 준비를 하기로 했다. 또 공동의 노력으로 협상을 위한 좋은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중 통화에는 중산 상무부장, 이강 인민은행장, 닝지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부주임도 참여했다.

중국은 무역전쟁 장기화로 곳곳에서 경고음이 울리자 조만간 지급준비율을 인하해 시중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중국 국무원 상무위원회는 전날 리커창 총리 주재로 회의를 열고 ‘온건한 화폐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적기에 전면적 지준율 인하 또는 특정한 지원 대상으로 지준율 인하에 나서기로 했다. 국무원은 조속히 실질 금리 인하를 유도해 실물 경제, 특히 중소기업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이달 안에 지준율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은 지난해 4차례 지급준비율을 인하했고, 올해 1월에도 두 차례에 지준율을 1%포인트 내렸다.

국무원은 또 회의 후 낸 발표문에서 고용 안정 등 ‘여섯 가지 안정’(6穩) 정책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경제 운영이 합리적 구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연초 제시한 ‘6.0∼6.5%’ 구간을 유지하고 목표 하한선인 6.0%를 사수하라는 명령을 하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지도부는 “긴박감을 크게 가져야 한다”며 이례적으로 강하게 위기의식을 강조했다.
국무원은 “현재 외부 환경이 더욱 복잡하고 심각해지고 있으며, 국내 경제 하방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며 각 지방정부에 경기 부양을 위한 특수목적채권을 조기에 소진할 것을 지시했다.

중국 정부는 앞서 올해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복지시설 등 인프라 시설 건설에 충당할 지방정부의 특수목적 채권 발행 규모를 지난해보다 8000억원 이상 증가한 2조1500억 위안으로 책정해 경기부양 의지를 드러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