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5일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만들고 “내년부터 신용 등급 제도를 ‘신용 점수’ 제도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바뀌면 이른바 ‘문턱 효과’가 사라지면서 최대 240만명이 연 1% 포인트 가량의 금리인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신용등급제는 개인 신용등급을 1~10등급으로 나눴다. 이렇게 나눠진 등급으로 대출 금리 등이 결정되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7등급 상위는 6등급 하위와 큰 격차가 없어도 대출 심사 때 등급이 나뉘며 더 높은 대출금리를 내는 등의 불이익을 겪어야 했다. 금융회사들이 통상 6등급까지만 대출을 해주는 경우가 많아 7등급은 대부업체 등을 이용하는 상황이었다.
새롭게 점수제(1~1000점)가 시행되면 신용평가(CB)회사는 신용 점수만 제공하고 금융회사가 이를 바탕으로 자체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신용 점수에 따라 여신 심사, 대출 금리 등이 좀 더 정교하게 나뉘는 셈이다. 금융 당국은 5개 시중은행(신한·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에 신용점수제를 시범 적용하고 내년부터 보험과 금융투자, 여신전문금융업권 등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