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글로벌 화학소재기업 5379개사를 전수조사한 결과 2018년 OECD국가 28개국 중 한국 화학소재 기업 1개사 당 매출액·영업이익·종업원 수는 각각 18위·21위·22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고 5일 밝혔다.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2018년 매출액증가율, 매출액영업이익률도 각각 20위와 21위에 그쳤다.
한국의 2018년 화학소재산업 매출액은 230조7000억원으로 미국, 일본에 이어 OECD국가 중 3위이다. 영업이익 역시 17조6000원으로 미국, 일본에 이어 3위이다. 일부 대기업 덕분에 전체 순위는 높지만 개별 기업으로 따지면 순위가 뒤쳐진다.
기업 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해당한다. 한국의 화학소재기업 1개사 당 매출액은 2486억원으로 18위이고, 영업이익은 189억원으로 21위이다. OECD국가별 1개사당 매출액은 스위스 6조6839억원, 멕시코 5조4118억원, 미국 4조7339억원, 독일 2조5062억원, 칠레 2조1590억원 순이다. 국가별 1개사 당 영업이익은 스위스 8733억원, 미국 6572억원, 멕시코 6457억원, 칠레 4470억원, 독일 2354억원 순이다.
2018년 한국 화학소재기업의 경영실적지표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증가율은 7.9%로 20위, 수익성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6%로 21위에 불과했다.
한경연은 이같은 한국 화학소재기업 부진에 대한 원인을 영세성으로 꼽으며 “국내 화학소재산업 내 기업체 수가 과도하게 많고 기업 당 종업원 수는 적은 구조적 취약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사 결과, 한국 화학소재기업 수는 928개로 OECD 국가 중 2위이고, 3위 일본보다 2.6배, 9위 미국보다 8.6배 많았다. 반면, 기업별 종업원 수는 1025명으로 25개국 중 22위를 기록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 조세위원회는 이날 기업승계 공제요건을 완화하는 등 세제 개선 방안을 기획재정부에 건의했다. 위원회는 기업승계 공제요건 완화, 설비투자 가속상각 제도 명확화,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 축소 재검토 등을 건의했다.
조세위원회 위원들은 기업승계 지원제도에 대해 “최근 일본이 백색국가 명단(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한 조치와 관련해 국내 소재부품 분야 경쟁력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