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구경실련)은 5일 성명서를 내고 “경상여고 학생, 교직원의 악취 및 유해물질 피해는 인재(人災)로 대구시 등 관계기관이 악취관리지역 지정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경상여고 인근 제3공단은 대기오염 배출업소 379개 사업장 중 4~5종의 영세사업장이 98%를 차지하고 있다”며 “제3공단은 7개 도심산단 중 악취강도 및 불쾌도가 2번째”라고 밝혔다.
또 “2년 만에 또 다시 알 수 없는 악취 및 유해물질로 인해 74명의 학생과 교직원이 병원으로 이송된 바 있는 경상여고는 이러한 환경에 항상 노출돼 있다”며 “악취 및 유해물질로 인한 경상여고 구성원들의 피해는 2017년 9월부터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지난 2년간 병원에 실려 간 학생, 교직원만 179명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상황이 이렇지만 관계기관의 대응은 북구가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복합악취 포집조사’를 의뢰하고 보건환경연구원이 경상여고 운동장에서 23회의 복합악취 검사를 해 모두 적합 판정을 한 것이 거의 전부였다”며 “이 때문에 경상여고의 악취 및 유해물질 피해는 아직도 원인불명”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구경실련은 “피해의 원인이 제3공단을 포함한 주변지역에 있는 것이라면 그 피해자는 경상여고 학생, 교직원에 그치지 않고 제3공단에서 일하는 노동자, 주변의 주민들에게까지 확대될 수 있다”며 이 지역의 악취관리지역 지정과 실태 조사 결과 공개 등을 촉구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