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한국이 일본 측에 강제징용 배상 ‘1+1+α(알파)안’을 제안한 적 없으며, 생각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 총리가 가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 일한의원연맹 간사장과 만나 일본 기업이 먼저 배상을 하면 한국 기업과 정부가 나중에 배상하겠다고 제안했다는 보도가 있다’는 심재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리는 “아침 보도는 딱히 제가 그 말을 했다는 것도 아니면서 제가 그렇게 말한 것 같은 인상을 주는 보도였다”고 말문을 열었다. “저도 놀라 직접 가와무라 간사장에게 전화해 물어보니 ‘보도가 잘못됐다, 이 총리의 말씀도 그게 아니었다’고 했다”며 “해당 기사를 보도한 기자에게 전화해 물으니 인터넷판이라도 정정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보도가 가와무라 간사장 본인의 부주의인지 의도인지, 오보인지 모르겠지만, 몹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가와무라 간사장과) 오랫동안 쌓아온 신뢰 관계가 깨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저는 그렇게 말한 적도 없고 그런 생각을 해본 적도 없다. 그건 전혀 합당한 방식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 언론은 5일 오전 가와무라 간사장이 이달 초 한국을 방문한 뒤 일본 기자들에게 “한국 정부가 징용 문제와 관련된 1+1+α안을 지난달 15일 일본 정부 측에 비공개로 제시했다”고 알렸다고 보도했다.
1+1+α안에서 1은 한국 기업, 다른 1은 일본 기업, α는 한국 정부 등을 뜻한다. 피고인 일본 기업이 우선 한국 대법원 판결을 실행하고, 한국 기업과 한국 정부 등이 그에 해당하는 액수의 돈을 준비해 실질적으로 일본 기업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변상해주는 방식이다. 일본 기업들이 대법원 판결을 존중하는 모양새를 갖추면서도 한일 양국 기업과 한국 정부 등 3자가 사후적으로 일본 기업에 배상액을 제공하자는 아이디어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