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국가공무원 1만8815명을 뽑겠다는 정부안을 확정했다. 단 최종 충원인력 규모는 국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 1만2610명, 헌법기관에 111명, 국군조직 6094명 등 총 1만8815명을 충원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이대로 확정되면 문재인 정부 출범 뒤 최대 국가공무원 충원 규모다.
중앙부처 공무원은 경찰·해경과 출입국관리, 취업 지원, 검사·검역·통관 분야 위주로 뽑는다. 경찰·해경 채용 규모는 총 6213명이다. 경찰은 의경 폐지에 따른 대체인력 1466명과 파출소·지구대 순찰 인력 512명, 여성·청소년 수사 분야 475명, 학대 예방 및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인력 186명 등을 포함해 모두 4850명을 충원할 방침이다.
해경 충원 인원은 1363명이다. 함정 복수 승조원제 등 교대제 개선에 따라 762명을 늘리고 신규 도입 시설·장비 운영인력 158명과 해안경비안전인력 153명도 증원한다.
국·공립 교원은 모두 4202명 늘린다. 특수교사(1398명), 비교과교사(1264명), 유치원교사(904명)를 위주로 뽑고 초중등교사는 학령인구 감소를 반영해 512명을 충원한다.
생활안전 분야에서는 모두 2195명을 충원할 계획이다. 산업현장 및 근로자 권익보호 인력 129명, 미세먼지 대응 인력 55명, 철도·항공안전 인력 52명, 동식물·질병 검역 인력 41명 등을 증원한다.
중앙부처 외에 대법원·헌법재판소 등 헌법기관은 111명, 국군조직은 6094명을 각각 충원한다.
국가공무원 규모는 국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 과정에서 통상 정부안보다 인원이 줄어든다. 2018년에는 정부안 1만5125명에서 2746명이 줄어 1만2379명으로 충원 규모가 확정됐다. 올해는 2만616명을 뽑겠다고 했지만 3000명이 감소한 1만7616명으로 정해졌다.
지방공무원은 지방자치단체 협의를 거쳐 연말까지 충원 규모를 정한다. 근무환경이 열악한 소방관과 늘어나는 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복지공무원 등을 중점 충원할 계획이다.
다만 올해 국가공무원 1만8815명을 다 뽑더라도 역대 정부 최대 충원 규모라고 보긴 힘들다. 정권별로 공무원 집계 기준이 달라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노태우 정부 당시 일용직을 기능직 공무원으로 전환하면서 국가공무원 2만명 이상을 뽑은 적도 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