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스포츠선수 성폭력 재발방지를 위한 개선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키로 했다. 성폭력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해 구조적 문제해결을 위한 재발방지 및 예방정책을 수립하고 전국 최초로 선수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성인지 감수성 교육 등 인권 교육을 실시한다. 성폭력(성희롱) 가해 체육지도자(선수)에 대한 자격 취소 및 정지 등 징계기준 강화안도 마련했다. 또 성폭력 피해자 조기발견 시스템과 사전예방 체계를 구축하고 피해자 구제 체계를 개선한다. 이밖에도 피해자에게 무료법률 서비스 제공과 무료소송도 지원한다. 이는 ‘경기도 스포츠선수 인권침해(성폭력) 실태조사 결과’ 선수 100명 가운데 6명이 성폭력(성추행) 피해 경험이 있다는 조사결과에 따른 것이다.
김용 대변인은 4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구체적인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스포츠선수 성폭력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구조적 문제해결을 위한 재발방지 및 예방정책을 수립해 지도자들과 선수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선수들 간의 원만한 관계를 도모할 수 있는 훈련문화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선수와 지도자에게는 경기도형 맞춤 교육 프로그램으로 일상에서의 성인지 감수성 교육을 포함한 인권 교육을 전국 최초로 실시한다. 코치 감독 등 지도자와 관리자 대상으로는 ‘지도(관리)자로서의 성인지 감수성’ ‘성희롱·성폭력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성폭력 대응방안 안내’ ‘지도자로서의 책무’ 등이, 선수들 대상으로는 ‘인권과 성인지 감수성 향상’ ‘조직의 위계구조 내 인권문제’ ‘성폭력 지원체계 안내(신고, 상담)’ 등으로 구성됐다.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 성폭력 가해 체육지도자(선수)에 대한 자격 취소 및 정지 등 징계기준 강화 제도개선(안)도 마련했다.
또 성폭력 피해자 조기발견 시스템과 사전예방 체계를 구축하고 공정성과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피해자 구제 체계를 개선하며 성폭력 사건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경기도인권센터(성평등 옴부즈만)에서 상담 및 신고·접수를 담당하도록 했다.
이밖에도 경기도 무료법률상담소를 통해 피해자에게 무료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무료소송도 지원한다.
김 대변인은 “다시는 경기도 체육계에 인권침해로 고통 받는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대책을 적극 시행해 안전하고 차별 없는 스포츠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22일부터 6월 21일까지 도내 체육단체 소속 선수와 대학·장애인 선수 등 28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에는 1495명이 응답(52.2%)했다.
장애인 선수들의 성폭력 피해경험이 6.9%(39명), 비장애인 선수들은 6.4%(59명)으로 나타났다.
체육계 성폭력방지를 위한 정책으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선수 모두 ‘철저한 성폭력예방교육(비장애인 34.1%, 장애인 42.5%)’과 ‘가해자 징계기준 마련·집행(비장애인 32.7%, 장애인 26.5%)’이 가장 필요하다고 조사됐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