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3일(이하 현지시간) 취임 후 처음으로 치른 브렉시트 관련 표결에서 패배했다. 영국 하원은 결국 브렉시트 3개월 연기를 골자로 하는 법안 표결을 4일 실시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3일 오후 하원은 협상 없는 브렉시트 저지를 위한 1단계 절차인 ‘노딜(no deal) 브렉시트 방지법’ 표결을 위한 동의안을 찬성 328표, 반대 301표로 통과시켰다. 집권 보수당에서도 21표의 이탈표가 나왔다.
표결은 보수당 의원인 올리버 레트윈 경의 긴급토론 신청과 동료 의원 40여명의 동의로 이뤄졌다. 레트윈 경은 이날 오후 정부가 유럽연합(EU)이 수용할 만한 변화를 제시하지 않아 브렉시트 합의 가능성이 작다며 존 버커우 하원의장에게 이른바 ‘SO(Standing Order·상시명령)24’에 따른 긴급토론을 신청했다. 버커우 의장은 하원 의원들에게 지지 의사를 물었고, 규정대로 40명 이상이 찬성하자 이를 허락했다.
이에 따라 3시간가량 노딜 브렉시트에 대한 정부와 야당의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이후 토론을 마친 이날 오후 10시쯤 표결이 실시됐다. 표결 결과 동의안이 가결됐으며, 하원은 노딜 브렉시트 방지법에 대해 다음 날인 4일 투표할 예정이다.
힐러리 벤 노동당 의원이 발의한 노딜 브렉시트 방지법은 ‘브렉시트 3개월 연기’를 골자로 한다. 존슨 총리가 다음 달 19일까지 EU와 브렉시트 재협상에 실패할 경우 이듬해 1월 31일까지 브렉시트를 연기하겠다는 내용이다.
노딜 브렉시트를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온 존슨 총리는 동의안 가결 직후 조기 총선 동의안을 상정하겠다고 말했다. 브렉시트 추가 연기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하원이 내일 의미 없는 브렉시트 연기를 택한다면 총선을 추진할 것”이라며 “’고정 임기 의회법’에 따라 조기 총선 동의안을 상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존슨 총리가 하원을 해산한 뒤 조기 총선을 확정하려면 하원 3분의 2이상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보수당의 필립 리 의원이 탈당한 뒤 자유민주당에 입당하면서 집권 보수당 정부는 하원 과반을 상실한 상태다. 따라서 조기 총선 동의안이 통과될지는 불투명하다.
앞서 존슨 총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성과 보고를 위해 하원에 출석한 자리에서 “우리가 영국를 위한 좋은 합의를 얻고 브렉시트를 완수해 영국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원에서 법안에 반대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