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쿄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가 내년 대회에서 욱일기 사용을 제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3일 SBS 보도에 따르면 도쿄올림픽 조직위는 SBS 질의에 대한 공식 답변 서한에서 “욱일기가 일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막을 이유가 없다”며 “욱일기 자체는 어떤 정치적 의미를 담지 않아 금지 품목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직위의 이런 방침에 따라 내년 도쿄올림픽에서 일본 관중이 욱일기를 흔들며 응원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대한체육회는 지난달 22일 도쿄에서 조직위 관계자를 만나 욱일기 반입 금지를 요청했다. 대한체육회는 “욱일기가 한국인에게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전범기로 인식되고 있다. 경기장에서 욱일기 응원이 있을 경우 한국 관중과 일본 관중이 충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조직위 측은 확답하지 않았다.
이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전체회의에서 ‘2020 도쿄 하계올림픽대회 및 하계패럴림픽대회에서의 욱일기 경기장 내 반입금지 조치 촉구 결의안’을 의결했다.
문체위는 결의안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패럴림픽조직위원회에 도쿄올림픽 기간 전후 경기장 내 욱일기, 욱일기를 활용한 유니폼과 소품 반입, 이를 활용한 응원 행위를 금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결의안에는 국제사회에 욱일기의 제국주의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모든 공식적인 국제행사에서 욱일기가 사용되지 않도록 정부가 외교적 노력을 다해달라는 요구도 담겼다.
문체위는 또 “독일 나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는 제국주의 상징으로 지목돼 국제 체육경기 등 모든 공식행사에 사용되지 않았다”며 “욱일기는 여전히 응원 도구로 사용됨으로써 과거 제국주의 침략 대상이었던 국가들로 하여금 부정적 역사의 기억을 자극하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