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가 세계 7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GDP 대비 정부부채가 늘어나는 속도도 세계 3위였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국제결제은행(BIS)의 비금융부문 신용통계를 이용해 43개국 대상으로 ‘정부·가계·기업 GDP 대비 부채비율 국제비교’를 실시한 결과 GDP 대비 가계부채는 지난해 한국이 97.7%로 43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고 2일 밝혔다.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도 2000년~2018년 한국이 연평균 9.8%로 15번째로 빨랐다.
대상을 가계 부채비율이 높은 상위 10개국으로 한정하면, 가계부채 증가율은 한국이 가장 높았다. 한국 가계의 빚 상환부담도 늘고 있다. 한국의 가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지난해 12.45%로 BIS가 통계를 제공하는 1999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DSR은 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로, 값이 높으면 빚 상환부담이 크다는 의미이다. 한경연은 저금리가 이어지고 있지만 가계부채가 워낙 많이 늘어나 가계 DSR이 최근 올랐다고 설명했다.
정부부문의 경우, 한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이 지난해 38.9%로 43개국 중 32번째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부채가 늘어나는 속도(자국통화 기준)는 2000~18년 한국이 연평균 14.4%로 아르헨티나(29.2%), 중국(17.9%)에 이어 세계 3번째로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 43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17년 95.5%에서 2018년 94.0%로 하락했다. 반면, 한국은 98.3%에서 101.7%로 상승해 세계 16위로 올랐다. 또 우리 기업들은 이익창출력이 떨어지고 재무구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이 1.0 미만인 기업 비중은 2017년 32.3%에서 2018년 35.7%로 올랐다. 영업이익으로 부채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늘었다는 의미이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가계와 기업의 GDP 대비 부채가 거의 100%에 육박하는데, 지금 같은 경기하강 국면에서 과도한 부채는 민간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고 신용위험을 키워 거시경제 건전성을 훼손시킬 수 있다”며 “민간부채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