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태국·미얀마·라오스’ 순방 앞두고 밝힌 두 가지 바람

입력 2019-08-30 06:57 수정 2019-08-30 07:06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함께할 수 있길 희망한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오길 바란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 1일 시작되는 태국·미얀마·라오스 순방을 앞두고 가진 현지 영문일간지인 ‘방콕 포스트(Bangkok Post)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의 김 위원장 초청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한국은 아세안과의 대화 관계 30주년을 기념해 오는 11월 부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한다”고 설명한 문 대통령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을 초청할 것을 제의했고 여러 정상이 지지했다고”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아세안 10개국 정상들이 함께 모인 자리에 김 위원장이 함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면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매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는 동아시아 국가들과 북한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협력할 수 있을지 이야기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김 위원장의 초청 문제는 북·미 간 대화를 포함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 상황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아세안 국가들과도 관련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외교적으로 해결하길 희망한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일본이 과거사 문제와 연계해 한국에 대해 부당한 경제적 보복조치를 위한 것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한 문 대통령은 “그간 자유무역질서의 혜택을 많이 받아왔고, 국제무대에서도 자유무역주의를 적극적으로 주장해왔던 일본이라 더욱 충격적”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은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해결하고, 경제협력은 이와 별개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제 외적인 이유로 서로의 경제에 해를 끼치는 것은 어리석다.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한 문 대통령은 “나는 일본이 언제라도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온다면 기꺼이 손을 잡고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전날 임시 국무회의에서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정직해야 한다”고 비판한 문 대통령이 일본의 태도 변화가 있을 경우 협력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한·일 갈등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아세안과 한국은 자유무역이 공동번영의 길이라는 것을 스스로 증명해야 하고 이를 통해 강대국 간 무역 갈등과 보호무역주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면서 “일본이 대화와 외교적 협의의 길로 나올 수 있도록 한국과 일본 모두의 가까운 친구이자 협력 파트너인 아세안이 힘을 모아주시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