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터리 갯벌복원 강화 동검도 “물길 전체 다 터야”

입력 2019-08-29 21:49
인천 강화군 동검도 갯벌복원 현장. 인천녹색연합 제공

인천 강화군 동검도 갯벌 훼손 현장. 인천녹색연합 제공

해양수산부와 강화군이 50억원의 예산을 들여 강화도와 동검도를 연결한 제방을 다리로 교체하는 동검도 갯벌생태복원사업을 2017년 12월 준공했으나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29일 인천녹색연합 등에 따르면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지난 22일과 27일 동검도 갯벌생태복원사업 현장을 확인한 결과 다리 밑과 주변으로는 돌무더기가 널부려져 있고 공사과정에서 사용했던 황토와 자갈을 담은 큰 자루(일명 톤백)들은 그대로 갯벌에 묻혀 있어 해양쓰레기가 되어가고 있었다.

해수유통을 위해 준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자갈들이 다리 밑에 그대로 방치돼 흉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들은 갯벌복원현장인지 돌밭인지 알 수 없을 현지의 상황을 근거로 해양수산부와 강화군 차원에서 즉각 동검도 갯벌생태복원사업 전반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제대로 된 갯벌복원사업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국비 70%, 지방비 30% 총사업비 50억원이 투입된 제방을 다리로 교체한 사업은 사업추진과 준공 당시 해양수산부와 강화군은 물론 인천광역시까지 ‘갯벌생태복원사업’이라며 자랑스럽게 홍보한 것도 현장과의 괴리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이 사업은 2015년 2월 기본계획과 실시설계용역에 착수한 후 2015년 10월 공사에 착공해 2017년 12월에 준공했다.

현장에 세워진 안내판에는 복원사업의 목표로 △ 제방 남서쪽 갯벌고도의 연평균 2cm이상 지속적 감소를 통한 북동쪽 갯벌과의 고도평형, △ 연륙교 남서쪽과 북서쪽 갯벌의 생태적 연결을 통한 저서생물종의 유사화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확인 결과 강화도 선두리와 동검도 사이의 잇던 제방은 300미터가 넘었지만 절반이상은 그대로 존치되어 있고 교량 등 해수유통가능시설은 약 150m에 불과했다.

환경운동가들은 “단순한 해수유통 수준이지 갯벌생태복원이라고 부르기에는 많이 미흡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갯벌 위의 제방 전체를 교량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다리와 교량이 만나는 부분에서는 도로폭이 갑자기 좁아져 교통사고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환경단체 관계자는 “해양수산부와 인천시는 즉각 현장 확인을 실시하고 해당사업 전반에 대해 감사를 진행해 엉터리 갯벌복원사업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