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에 원전 백지화 기념비 세워졌다

입력 2019-08-29 14:04
삼척핵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와 근덕·노곡 원전반대투쟁위원회, 삼척환경시민연대 등 반핵단체와 주민들은 29일 오전 근덕면 덕산리 8·29기념공원에서 ‘대진원전 건설 백지화 기념식’을 열었다. 삼척시 제공

강원도 삼척시에 원자력발전소 항쟁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기념비가 세워졌다.

삼척핵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와 근덕·노곡 원전반대투쟁위원회, 삼척환경시민연대 등 반핵단체와 주민들은 29일 오전 근덕면 덕산리 8·29기념공원에서 ‘대진원전(삼척원전) 건설 백지화 기념식’을 열었다.

이날 기념식에선 원전 백지화 기념비 제막식이 진행됐다. 이 기념비는 8·29기념공원에 설치된 2번째 원전백지화 기념비로 삼척 원전 백지화 투쟁을 승리한 시민들의 역사를 담고 있다. 기념비에는 ‘원전 반대 운동을 하면서 마음 곳곳에 상처도 많지만 마침내 이겼고, 이 땅을 지켜냈다’는 내용의 비문이 담겼다.

삼척 원전 항쟁은 1981년 정부가 근덕면 일대를 원전 건설 예정지로 고시하면서 시작됐다. 정부가 근덕에 원전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하자 주민들은 반대대책위 구성, 이장 집단 사표 등 반대 운동에 나섰다. 1993년 8월29일 주민들은 총궐기대회를 열었고, 1998년에는 국회 앞 집회, 광화문 결의대회 등을 열기도 했다. 결국 정부는 1998년 12월 삼척원전 건설 후보예정지 고시를 해제했다. 이를 기념해 주민은 1999년 근덕에 8·29기념공원을 건설하고 원전 백지화 기념탑과 비석을 세웠다.

하지만 다음 해인 2010년 김대수 전 시장이 신규 원전 유치 신청을 하면서 삼척 원전 논란에 또다시 불이 붙었다. 삼척 반핵단체와 주민들은 8·29기념공원에 모여 반대 투쟁을 공식 선언했지만 이명박 정부는 2012년 삼척을 원전 예정구역으로 지정 고시했다. 이에 삼척시민은 총궐기대회와 수요 촛불집회, 찬반 주민투표, 도보 순례 등 원전 백지화와 예정구역 지정 철회를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결국 정부는 지난 5월 삼척 원전 예정구역 지정을 철회했다.

최봉수 근덕·노곡 원전반대투쟁위원장은 “삼척시민들은 2차례에 걸쳐 원전 건설을 막아냈다”며 “ 원전 항쟁의 정신이 후대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기념비를 제작했다”고 말했다.

삼척=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