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리캡 전면 도입 검토 필요’ 개인 아닌 구단 전체 연봉 제한

입력 2019-08-29 13:56 수정 2019-08-29 14:02

KBO 이사회가 지난 28일 내놓은 방안 중 가장 눈에 띄는 제도 중 하나가 외국인 선수 샐러리캡 제도 도입 검토다.

1명 당 몸값이 아니라 3명의 외국인 선수를 합쳐 일정 금액 이하로 제한을 두자는 방안이다. 명분은 경기력 향상이다.

일견 맞아 보인다. 그렇다면 구단 전체 선수 연봉을 일정 정도 수준으로 묶으면 안될까. 미국 메이저리그(MLB)는 2003년부터 샐러리캡 제도를 두고 있다. 일정 금액을 정해 이를 넘으면 사치세를 물린다.

올해 샐러리캡은 2억600만 달러다. 올해 MLB의 경우 40인 로스터의 연봉 총액이 2억600만 달러를 넘으면 초과분의 17.5%를 사무국에 납부해야 한다. 2년 연속 초과하면 30%, 3년 이상 초과하면 50%를 낸다. 균등경쟁세라고 불리는 사치세다. 전력 평준화를 위한다는 명분을 갖고 있다. 실제 세금이 아니라 야구발전기금으로 활용된다.

국내에서도 프로 농구와 프로 배구계는 샐러리캡이 적용되고 있지만 프로야구는 예외다.

올해 최고 연봉 구단은 롯데 자이언츠다. 100억원이 넘는다. 여기에는 외국인 선수와 신인 선수가 빠져 있다. 가장 적은 KT 위즈는 47억여원이다.

샐러리캡을 도입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전력 평준화는 물론이고, 무차별적인 선수 영입을 막을 수 있다. ‘일방적인 돈의 야구’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각 구단의 회계 투명성에도 도움이 된다. 큰 그림 속에 구단을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리 프로야구계도 샐러리캡을 도입할 만큼 성숙돼 있다. 물론 각 선수의 연봉을 성실하게 밝혀야 한다는 전제조건은 깔려 있다.

KBO 이사회가 서두른다면 내년 시즌부터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투명하게 운영하지 못하는 구단에 대해선 가혹한 페널티를 주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면 된다.

지금 우리 사회는 공정하지 못한 방법으로 자녀를 보낸 한 공직 후보자로 시끄럽다. 출발에서부터 ‘공정’이라는 가치를 들이댈 수 있는 야구계로 거듭나는 것을 고민할 때가 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