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 소음, 못살겠다” 청와대 인근 주민들 ‘노마이크 시위’

입력 2019-08-29 11:54
‘청운효자동·사직동·부암동·평창동 집회 및 시위 금지 주민대책위원회’. 연합뉴스 제공

잦은 집회와 시위에 지친 청와대 인근 지역 주민들이 2년 만에 침묵시위를 열었다.

청운효자동·사직동·부암동·평창동 집회 및 시위 금지 주민대책위원회는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주민 총회를 열고 거주지 인근에서 잦은 시위와 집회 자제를 촉구했다.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일상생활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총회에는 주민 200명이 참석해 주민센터 강당을 메울 정도였다. 그러나 여타 시위와는 달리 확성기도, 앰프를 통해 흘러나오는 노래도 없었다. 마이크조차 사용하지 않고 육성으로 호소문을 낭독한 채 주민들은 ‘우리 동네를 동네답게. 집회 시위 제발 그만. 학습권을 보호하라’ 등의 팻말을 들고 경복궁까지 이동했다.

대책위는 “청와대와 가깝다는 이유로 전국에서 모여든 시위대에 둘러싸여 주민들이 늦은 밤까지 소음으로 힘들어하고 있다”며 “사직동, 부암동, 평창동 지역은 시위대가 도로를 점령하면 교통이 마비돼 차량과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는 교통감옥이다. 하루에도 몇 차례씩 열리는 집회 시위 탓에 장사할 수 없어 내놓은 가게도 여러 곳 있다”고 말했다.

빈번한 시위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불만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2017년 당시 주민들은 청와대 인근 집회와 시위를 자제해달라는 내용을 담아 경찰에 탄원서를 내고 침묵시위를 열었다. 그러나 대책위의 이 같은 요구에도 사정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대책위는 “최근 1년간은 시위 규모가 점점 커지고 교통 정체도 심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청와대 인근 집회시위 현황은 2016년부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청와대 앞 집회가 허용된 이후 집회 신청 건수는 638건이던 2016년에 비해 2017년에는 4110건, 2018년에는 5040건으로 집계돼 6배 이상 증가했다. 실제 집회 건수도 2016년 50건에서 2017년 497건으로 급상승했다.

한편 대책위는 주민 피해 사례와 요구사항, 호소문 등을 추후 청와대에 전달할 예정이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