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도로공사,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직접 고용해야”

입력 2019-08-29 11:05
지난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한국도로공사의 톨게이트 요금수납원들이 불법파견 확정 판결을 촉구하며 1박 2일 농성 돌입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대법원이 한국도로공사가 외주용역업체 소속 톨게이트 요금수납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요금수납원들이 소송을 제기한 지 6년 만에 나온 결과다.

대법원 2부(주심 김상환·노정희 대법관)는 29일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368명이 도로공사를 상대로 낸 근로자지위 확인 소송 상고심에서 “근로자 파견계약으로 봐야 한다”며 원고 승소 판결을 한 원심을 확정했다.

외주업체 소속 노동자인 톨게이트 요금수납원들은 지난 2013년 도로공사를 상대로 “도로공사와 외주용역업체 사이에 체결된 용역계약은 사실상 근로자파견계약이므로 2년의 파견 기간이 만료된 날부터 공사가 요금수납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할 의무를 진다”며 소송을 냈다.

이에 대해 도로공사 측은 “외주용역업체가 독자적으로 노동자를 채용하고 그들이 운영하는 사업체 역시 독자적인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으므로 근로자파견계약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맞섰다.

1심에서 재판부는 “도로공사가 직접 요금수납 노동자들에게 규정이나 지침 등을 통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업무 지시를 했다”면서 근로자 파견계약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2심인 서울고법도 2017년 2월 “요금수납원은 파견근로자로 인정되므로 파견기간 2년이 지난 시점부터 공사에 직접 고용 의무가 발생했다”며 요금수납원들의 손을 들어줬다.

이번 대법원 판결로 지난달 1일 해고된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전원이 도로공사에 복귀할 것으로 전망된다. 2심 판결 직후 도로공사는 전체 요금수납원 6500여명 중 5000여명을 자회사인 한국도로공사서비스로 편입시켜 채용했다. 하지만 나머지 1500여명은 자회사 편입을 반대해 지난달 1일 전원 해고됐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