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후보자의 모교이자 현 직장이기도 한 서울대 재학생과 졸업생 등 800여명(주최 측 추산)은 오후 8시쯤부터 서울대 관악캠퍼스 아크로 광장에서 ‘조국 교수 STOP! 서울대인 촛불집회’를 개최했다. 지난 23일의 1차 집회에 이은 2차 촛불집회로, 이번에는 총학생회가 행사를 주관했다.
도정근 서울대 총학생회장은 “법률을 잘 아는 법학자이자, 평등을 외쳐온 지식인이자, 법망을 잘 피하며 사회적 지위를 대물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온 조 교수가 법무부 장관이 되는 것은, 공정과 정의라는 가치를 완전히 배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조 후보자는 이제라도 자신에게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해 납득할 수 있는 소명과 사과를 내놓고 그와 함께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자리도 내려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임지현 공과대학 학생회장은 “조 후보자의 사회를 향한 촌철살인은 결국 본인을 찌르는 칼로 돌아왔다”며 “조 후보자는 사법개혁의 칼자루를 쥘 적임자가 아니라, 그 칼자루가 향해야 할 특권자라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발언했다.
지난해 정년퇴임한 한 서울대 생명과학부 명예교수는 “팩트만 말하겠다. 고등학교 1학년생 인턴이 2주 만에 SCI급 논문의 제1 저자가 된다는 건 99% 불가능한 일”이라며 “동료들에게 물어봐도 11명 중 10명이 불가능하다고 하고 매우 화가 나 있다”고 말했다.
집회 참여자들은 “법무장관 자격없다”, “학생들의 명령이다, 지금 당장 사퇴하라”, “납득 불가 장학 수혜, 지금 당장 반환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총학생회는 집회가 정치색를 띠는 것을 피하고자, 입장 시 학생증이나 졸업증명서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집회 도중에도 ‘총학생회가 주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연 집회’라는 점을 강조하며 정치적 목적을 가진 이들은 퇴장해달라고 몇 차례 요구했다.
다만 현장 즉석 발언자로 정준길 전 자유한국당 서울 광진구을 당협위원장이 마이크를 잡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 전 위원장은 서울대 법대 출신으로 한국당 대변인 경력도 있다.
이에 총학생회는 집회 해산 후 “현장 발언자 중 현직 정당인이 포함된 것을 파악했다”며 “현장 발언 내용은 사전에 총학생회와 조율되지 않았고, 총학생회의 입장과는 무관함을 밝힌다”는 입장을 냈다. 또 당사자에게 사과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