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부터 운용까지…조국 일가의 사모펀드 미스터리

입력 2019-08-28 17:05 수정 2019-08-28 23:38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8일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여러 비리 의혹이 있지만 검찰 수사의 핵심은 그가 “사회에 기부하겠다”던 사모펀드를 향해 있다. 숱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조 후보자 일가가 사모펀드에 투자를 시작한 경위부터 향후 운용 단계까지의 전 과정에서 의혹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주식 전문가였던 조 후보자의 5촌 조카 조모씨 등 이 사모펀드 운용사와 연관된 인물들은 도피성 출국을 했다.

조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준비하는 법무부 관계자들 틈에서도 조씨 등 사모펀드 주변 인물들에게 “문제가 있어 보인다”는 평이 나왔다고 한다. 자료 접근권이 제한된 상태에서 이들의 진술에 기댔지만 사실관계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는 경험이 쌓였던 것이다. 법무부 내에선 “차라리 수사의뢰를 하는 것이 의혹을 벗는 방법”이라는 하소연까지 나왔다고 한다. 검찰 수사는 실제 진행 중이다.

28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상훈 코링크PE 대표는 애초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 측에 “조 후보자 가족 이외에도 사모펀드 개인투자자 3명이 더 있고, 조 후보자와 무관한 이들”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이 대표의 진술은 ‘블루코어밸류업1호’가 조 후보자의 ‘가족 펀드’인 건 아니라는 근거로 쓰였다. 하지만 이 나머지 3명은 조 후보자의 처남과 두 아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뉴시스

이 대표는 조씨가 코링크PE의 ‘총괄대표’ 명함을 들고 다닌 사실에 대해서도 2016년 중국 발전회사와의 업무협약을 위한 한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후에도 조씨가 코링크PE의 대표처럼 행동했다는 증언이 계속 나왔다. 코링크PE의 ‘고문’ 명함을 들고 사무실에서 방을 얻어 활동한 이가 있었는데 이 대표가 “잘 모르는 사람”이라는 취지로 법정에서 부인한 일도 있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청와대 민정수석의 가족이 이런 운용사의 사모펀드에 거액을 투자한 일 자체가 의아하다”는 평가가 많다.

결국 투자 약정의 경위를 파악하려면 조 후보자의 아내 정경심 동양대 교수에 대한 검찰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 교수는 조씨의 소개로 이 대표를 만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단순한 대체 투자처 마련 차원에서 이 대표의 추천에 따라 거액을 투자하진 않았을 것이란 의심이다.

정 교수는 2017년 2월 28일 동생 정모씨에게 3억원을 빌려줬고, 정씨는 9일 뒤인 3월 9일에 코링크PE 주식 250주를 주당 200만원씩 총 5억원어치를 매입했다. 정 교수는 조 후보자가 청와대 민정수석에 임명된 이후엔 본인도 두 자녀와 함께 블루코어밸류업1호에 들어갔다.


검찰은 코링크PE나 블루코어밸류업1호가 투자한 회사들도 수사선상에 올려둔 상태다. 조 후보자 가족의 투자 다음 달인 2017년 8월 블루코어밸류업1호는 가로등 점멸기 생산업체 ‘웰스씨앤티’에 13억여원을 투자했고, 이 때부터 웰스씨앤티는 관급공사 177건을 수주하며 성장했다. 정치권에서는 조 후보자의 청와대 민정수석 발탁에 따른 업체 특혜 의혹이 제기됐다.

코링크PE의 지분 취득 이후 2017년 11월 컴퓨터·영어교육 업체에서 배터리 제조업체로 바뀐 더블유에프엠도 행보가 석연치 않다는 평가다. 지난해 2월 이 회사가 전북 군산에서 연 ‘2차전지 음극재 군산 제1양산공장 가동식’에는 조씨가 코링크PE측 인사로 참석했고, 더블유에프엠은 전북도의 산학연 연구 과제로 지정돼 국고 지원금도 받았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더블유에프엠의 배터리사업 매출액은 지난 6월 기준 최근 1년간 ‘0원’이다.

구승은 이경원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