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28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보이콧’하는 방안과 관련해 소속 의원들에게 의사를 물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검찰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조 후보자 수사에 착수하면서 원내지도부를 중심으로 청문회를 열지 말자는 주장이 나왔으나 ‘신중론’에 밀려 최종 결정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용인에서 1박 2일 일정의 연찬회를 진행 중인 한국당은 이날 예정된 행사를 취소하고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청문회 보이콧과 관련해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했다. 의원들 간에 격론이 오가며 의총은 1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역사상 피의자인 후보자를 인사청문회에 올린 적이 없었다”며 “다른 국무위원도 아니고, 법무부 장관이기 때문에 지도부로서 상당히 심각한 고민에 들어갔고 의원들에게 더 의견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나 원내대표는 “역사상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빨리 문재인 대통령은 조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당이 갑작스레 청문회 보이콧을 검토하고 나선 배경에는 전날 단행된 검찰의 압수수색이 영향을 미쳤다. 검찰 수사로 조 후보자와 후보자 가족들이 피고발인 신분이 됐기 때문에 국무위원 임명을 전제로 한 청문회를 여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이 같은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 분위기다.
인사청문회를 예정대로 진행할 경우 문 대통령에게 조 후보자 임명의 명분을 줄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으로서는 청문회를 보이콧 하고 여론전에 나서는 것이 조 후보자 임명의 부당성을 알리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수사 중인 상황이라 답변할 수 없다”는 식으로 조 후보자가 나오면 ‘맹탕 청문회’가 될 것이란 우려도 작용했을 수 있다.
다만 보이콧에 반대하는 의원들의 수도 상당해 최종 결론을 내기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검찰 출신 일부 의원들은 “합의 번복의 명분이 없다”, “여야 합의는 국민과 한 약속이다”라며 연이어 공개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의원은 “원내지도부가 결정한 뒤에 통보를 했다”며 불만을 터트리기도 했다. 황교안 대표는 당내 반론을 의식한 듯 연찬회 마무리 발언에서 “9월이 되면 정말 심각한 여러 이슈들이 하나하나 닥쳐올 것”이라며 “그럴 때마다 우리가 충분히 얘기들을 나눠야겠지만 마음을 모아 원팀, 원보이스로 국민들에게 메시지를 발신해서, 우리 당이 단합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인=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