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사가 27일 2019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노사는 이날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열린 21차 본교섭에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사가 파업 없이 잠정합의안을 마련한 것은 2011년 이후 8년 만이다.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는 오는 9월 2일 실시된다.
올해 임단협은 최근 심화된 한·일 경제 갈등과 글로벌 보호무역 확산에 따른 위기의식을 노사가 공감하고 조기 타결에 집중해 무분규 잠정합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앞서 현대차 노조는 파업권을 확보했으나 무역갈등 격화 분위기와 국민 여론 등을 고려해 파업 결정을 두 차례 유보한 바 있다.
올해 잠정합의안에는 기본급 4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급 150%와 일시금 300만원 전통시장 상품권 20만원 지급 등이다.
노사는 7년간 끌어온 임금체계 개편에도 합의했다. 현재 두 달에 한 번씩 지급되는 상여금 일부(기본급의 600%)를 앞으로는 매월 나눠서 통상임금에 포함하고, ‘임금체계 개선에 따른 미래 임금 경쟁력과 법적 안정성 확보 격려금’ 명목으로 조합원들에게 근속 기간별로 200만~600만원+우리사주 15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노조가 2013년 제기한 통상임금 소송과 올해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으로 불거진 최저임금 위반 문제가 노사 합의로 해결될 전망이다.
노사는 이번 임단협에서 최근 일본 수출규제 및 보호무역 확산에 따라 부품 협력사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인식, ‘상생협력을 통한 자동차산업 발전 노사공동 선언문’도 채택했다.
또한 노사는 9500명 규모로 진행중인 사내하도급 근로자 대상 특별고용 일정을 1년 단축해 2020년까지 채용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2012년 부터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내하도급 근로자 75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번 노사 합의에 따라 잔여 2000명도 앞당겨 채용될 예정이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방식 변화에 대비해 고기능·장기간의 기술 노하우가 요구되는 기술직무에 ‘고기능 직무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기로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불확실한 경영환경, 급변하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속에서 위기 극복과 미래 생존을 위한 합의안 마련에 노력했다”며 “적기 생산과 완벽한 품질로 고객의 기대와 성원에 보답하고, 미래차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로 도약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현대차 노사 올해 임단협 8년만에 무분규 잠정합의
입력 2019-08-28 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