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소방용 특수방화복 납품 지체현상 개선한다

입력 2019-08-27 15:22

앞으로 소방용 특수방화복의 납품 지체 현상이 개소되고 방화복의 품질도 개선될 전망이다.

조달청은 내년 1월1일부터 ‘국민안전물자(소방용 특수방화복) 공급안정 및 품질관리 개선 방안’을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특수방화복은 올해 물량이 안정적으로 공급 중이지만, 지난해 제3자 단가계약 업체가 계속해서 검사에서 불합격하며 1만7642벌 중 6039벌만 납품됐다.

이에 따라 조달청은 향후 다수업체가 공급이 가능한 다수공급자계약(MAS)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가운데, 적정 가격이 보장되도록 원가를 계산한 후 계약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2010년 62만5000원이었던 원가가 지난해 기준 36만 1000원까지 떨어졌다. 이 때문에 제조사가 낙찰 가격 하락으로 특수원단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품질점검에서 탈락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조달청은 또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 경쟁으로 가격이 과다하게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품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 경쟁 업무처리기준’ 2단계 경쟁을 예외로 적용한다.

현재 다수공급자계약이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인 경우 1억 원 이상, 일반물품인 경우 5000만 원 이상일 경우 2단계 경쟁을 거쳐 납품 대상 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이밖에 일부 업체의 납품 쏠림현상 방지를 위해 업체별 공급 비율을 50% 이하로 제한한다. 다만 공급이 지연될 경우 일시적으로 공급 제한을 해제한다.

강경훈 조달청 구매사업국장은 “소방용 특수방화복은 소방관의 생명 및 안전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물자이기에 적기에 우수한 제품이 공급돼야 한다”며 “다수의 공급 업체가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적정한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