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7일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비상계획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 배제 조치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 금융권 대응 태세를 강조한 것이다.
최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과 정책금융기관, 시중은행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고 “우리 정부의 외교적 문제해결 노력에도 일본 측이 여전히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문제가 장기화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로 우리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금융 부문이 ‘완충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 당국은 지난 2일부터 ‘금융부문 비상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다. 금융위는 지난 23일까지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출 만기 연장·신규자금 대출 등의 방식으로 총 2654억원(130건) 규모의 금융 지원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일본산 제품·원자재 등을 수입하는 업체에 대한 지원이 120건(248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수입업체와 거래하는 협력업체(5건, 25억원), 수출 업체·협력 업체(4건, 45억원) 등의 순이었다.
최 위원장은 “현재는 직접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 지원을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 추이에 따라 필요할 경우 관계기관과 함께 지원의 폭과 범위를 보완·확대해 나가겠다”며 “이미 마련된 비상계획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 위원장은 최근 수천억원 규모의 손실 논란이 불거진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S·DLF)에 대해 “전액 손실을 볼 수 있는 상품을 은행에서 판매하는 게 적정한지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금융감독원이 (DLF·DLS의) 불완전판매 여부와 구조 등을 상세히 조사할 것”이라며 “이런 상품의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 과연 일반 투자자한테 판매해도 되는지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