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무역전쟁에 모순되는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트럼프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중국과의 무역갈등에 대해 “나는 모든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고 말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 발언을 놓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온건한 스탠스로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중국이 지난 23일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즉각적으로 기존 5500억 달러(약 660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 관세를 현행보다 5%포인트씩 인상하는 추가 관세폭탄을 내리겠다고 맞받아쳤다. 하지만 이번 재고 시사 발언이 나온 뒤 이 조치가 완화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부풀어 올랐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리들은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강경노선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강변하고 나섰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25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무역전쟁에서 이전과 다름없이 단호하다”면서 “그는 좋은 협정을 원한다”고 말했다.
므누신 장관은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구”라면서도 “하지만 금융·무역과 관련해 우리는 적이 됐다”고 주장했다. 그리고는 “우리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므누신 장관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경기 침체가 곧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백악관도 나섰다. 스테파니 그리샴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답변이 매우 잘못 해석됐다”고 언론에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더 높이 올리지 않은 것을 후회하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무역전쟁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고 밝힌 이유는 더 강한 정책을 펼치기 위한 의도라는 설명이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추가로 미국에 보복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는 그들(중국)의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주 미국과 중국의 협상 대표들 간에 화상회의가 예정돼 있다“면서 미·중 협상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비상경제권법’ 발동에 대해서도 참모들은 발을 뺐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은 24일 트위터에 “우리의 위대한 미국 기업들은 고국으로 돌아오거나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해 즉시 중국에 대한 대안을 찾기 시작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대해 므누신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기업의 중국 철수를 강요하기 위해 비상권한을 발동할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커들로 위원장도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기업들이 집으로 돌아오길 바란다는 단순한 뜻을 전한 것”이라며 의미를 축소했다.
NBC방송은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이란 문제, 미·중 무역전쟁, 기후변화 의제 등에 대해 다른 6개국 정상들과 극명하게 다른 의견을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 혼자서 딴 소리를 한다는 얘기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