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친환경·재생에너지인 육상풍력 발전 활성화 나선다

입력 2019-08-25 16:46
강원도 정선의 정암풍력 발전단지. 한국남부발전의 출자회사인 정암풍력발전(주)이 운영 중이다. 한국남부발전 홈페이지 캡처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육상풍력 발전의 활성화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와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전환 산업육성 특별위원회는 육상풍력 발전의 활성화 방안을 25일 밝혔다. 이번 방안에는 발전사업 허가 전 초기단계에서 환경성 검토 강화, 불분명하거나 타당성이 부족한 환경·산림 규제의 합리적 개선, 사업추진 전 과정을 원스톱(one-stop) 지원하는 민·관 합동 지원단 신설 등이 포함됐다.

풍력발전은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고, 조선·해양플랜트·정보통신기술(ICT) 등 핵신산업과 연계돼 있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유망한 산업이다. 하지만 입지규제와 주민수용성 문제 등으로 보급·확산이 지체되고 있다. 성장이 둔화되면서 기술수준과 가격 경쟁력도 경쟁국에 비해 점차 저하되는 등 풍력보급과 수출 확대를 위한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성윤모 산자부 장관은 “재생에너지 3020계획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육상풍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육상풍력 발전이 환경과 공존하는 방향으로 보급·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