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구치소와 부산교도소 통합 이전이 46년 만에 본격화 된다.
이전 예정인 구치소·교도소 부지에는 스마트시티 배후단지와 대규모 신도시 조성이 추진된다.
부산시는 2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강서구 강동동과 대저동 일대 273만㎡에 강동·대저신도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원예시험장 북쪽으로 구치소 등과 통합 이전하는 부산교도소 용지 12만6924㎡를 포함해 개발제한구역 등 63만㎡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부산도시공사 등 공공기관 참여를 통한 공영개발로 추진한다.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인 취락 지역 210만㎡는 민간에서 개발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시는 내년에 용역비 5억원을 들여 타당성 조사를 벌이는 등 개발 계획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시는 용도지역 변경과 환지 등을 통해 주민 재산권을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10년 전 이 주변에는 대저신도시가 추진됐지만, 주거지 보상 비용 상승으로 사업성이 떨어져 무산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함께 주변 지역 개발을 통해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부산시 설명이다.
신도시 예정지역 남쪽에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연구개발특구가, 남서쪽에는 2023년을 완공을 목표로 복합산업유통단지가 각각 들어선다.
연구개발특구에는 32만3000㎡ 규모 제2컨벤션센터가 가장 먼저 건설된다.
대저1동에는 서부산영상미디어센터를, 강서체육공원에는 1만2000석 규모 축구 전용 경기장을 각각 건립할 계획이다.
부산 주례동 부산구치소 부지 9만9485㎡와 주변 부지 등 36만4000㎡는 사상혁신마을로 조성해 사상스마트시티 배후주거지 및 여가공간으로 개발된다.
김광회 시 도시균형재생국장은 “과거 대저신도시 계획과 달리 이번에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는 물론 주변 지역 개발 방안도 포함돼 있다”며 “도시철도와 경전철 등 교통 인프라까지 갖춰져 있기 때문에 사업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신도시 조성 등을 위해 교정시설 통합 이전 사업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시는 내달 중 강서구 주민이 참여하는 원탁회의를 열고 이해관계를 조정하기로 했다.
앞서 시와 법무부는 2025년 상반기까지 서낙동강과 현 교도소 사이 강동동·대저1동 29만㎡에 교정시설을 통합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이곳을 부산구치소 부산교도소 부산보호관찰소 부산보호관찰심사위원회 청소년비행예방센터 청소년자립생활관 등이 모두 모이는 ‘부산 스마트 법무타운’으로 만든다는 게 시와 법무부의 구상이다.
문제는 해당 강서구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는 점이다.
구치소와 교도소가 통합 이전 예정지 주민들은 물론 인근 강서구 주민들로 구성된 부산구치소 강서구 이전 결사 반대 투쟁위원회는 지난달 17일 강동동 농협마트 2층에서 결의대회 및 출정식을 갖고 반대운동에 본격 나섰다.
주민들은 1인 시위 및 집단 집회와 시위에 나서고 있다. 강서구의회 의원 전원도 교정시설 통합이전에 항의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삭발투쟁은 물론 법무부 항의 등 대규모 규탄집회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