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겨울철 한국산 의존도 높다… 난방비 부담 충격적일 것”

입력 2019-08-19 17:24
연합뉴스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 조치로 시작된 한·일 갈등이 깊어지면서 앞으로 일본 가계 난방비 부담이 크게 늘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는 19일(현지시간)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일본 북부 지방에서 겨울철 난로·난방기 연료로 많이 쓰는 등유는 일본 정유 업체가 일본 내 소비량 약 90%를 생산하지만, 수입 물량은 대부분 한국을 통해 들어오고 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만약 한국이 일본에 난방 연료 수출을 금지한다면 일본 가계 난방비 부담이 늘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 경제산업성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등유 수입 물량의 약 79%는 한국산이었다. 이 수치는 일본 내 전체 등유 수요의 13%에 해당한다.

시장조사업체 피치솔루션의 피터 리 애널리스트는 “한국에서 일본에 대한 등유 수출을 제한한다면 (일본에서) 수급난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겨울철에 그런 일이 벌어지면 더 충격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본 정유 업체들은 대부분 8월부터 겨울철에 판매할 등유 등 난방유 비축에 나선다. 일본 최대 정유사 JXTG홀딩스의 오우치 요시아키 상무는 “현재로서는 (한·일 갈등이) 회사의 에너지 사업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향후 상황을 주시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현지 정유 업계 2위 이데미쓰고산의 사카이 노리아키 대표도 “정치적 상황이 더 악화될 경우 어떻게 대처할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에너지컨설팅업체 우드맥캔지의 아시아·태평양 정유 담당 이사 수샨트 굽타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금수 조치를 취한다면 일본은 중국·싱가포르 등으로 눈을 돌릴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익명의 한 일본 업계 관계자는 “한국을 대체할 수입처를 찾는다 할지라도 운송비 증가와 항구 내 수용 능력 부족 때문에 공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