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본토의 무력진압 우려 속에 170만 명의 ‘비폭력’ 시위를 이뤄낸 홍콩 시위대는 앞으로도 계속 비폭력 시위를 이어가기로 했다. 홍콩 시위에 골치 아픈 중국은 홍콩 대신에 광둥성 선전을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우회적인 압박 전략을 꺼내들었다.
홍콩 도심 시위를 주도하고 있는 민간인권전선은 오는 31일 홍콩 도심에서 다시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했다. 31일은 홍콩 행정장관 간접선거제를 결정한지 5년째 되는 날이다. 중국과 영국은 반환협정에서 2017년 행정장관 직선제에 대해 합의했으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2014년 8월 31일 선거위원회를 통한 간접선거를 하기로 결정했다. 홍콩에선 이어 그해 9월 28일부터 79일간 ‘우산 혁명’으로 불리는 민주화 시위가 진행됐다.
따라서 이번 시위는 시민들의 ‘보편적 참정권’을 요구하는 정치적 성격이 강해질 수 있는데다 10월 1일 신중국 건국 70주년까지 시위가 이어질 경우 또 다시 충돌이 빚어질 우려가 있다.
하지만 18일 집회와 같은 비폭력 평화시위가 이어지면 중국은 무력으로 진압할 구실이 없어 사태를 관망하는 수 밖에 없어보인다.
중국 매체들이 19일 홍콩 건너편 광둥성 선전을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중국 정부의 계획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것도 그런 고민의 흔적이 엿보인다.
중국 국무원은 선전을 ‘중국 특색사회주의 선행시범구’로 건설하기로 했다. 선전이 2025년까지 경제적·질적 발전에서 세계 선두권에 서고, 2050년쯤까지는 경쟁력·혁신·영향력에서 글로벌 선도도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이 선전에 본사 등을 설립하는 것을 적극장려하고 국제 기준에 맞는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해외와 홍콩의 인재를 끌어들이는 조치도 마련한다.
중국 정부는 지난 2월 선전 광저우 등 광둥성 여러 도시들과 홍콩, 마카오를 통합 경제권으로 묶는 대만구(大灣區·Great Bay Area) 청사진을 공개했는데, 이번 가이드라인으로 홍콩의 위상이 흔들릴 것이라고 글로벌타임스는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홍콩의 지위를 격하시키려는 계획이며, 선전에 홍콩의 일부 역할을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홍콩 시위와 관련, “그들이 폭력을 행사해 또 다른 천안문 광장이 된다면 대처하기 매우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폭력이 있다면 (무역 합의를) 하기에 아주 어려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우리보다 훨씬 더 합의를 필요로 한다”며 “그러나 이 것(홍콩사태)이 합의의 일부가 아니라면 어떤 일이 이미 오래전에 일어났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사태에 무관심한 듯한 발언을 했다가 비판을 받자 무력진압 가능성을 내비치는 중국 정부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