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일본 더 이상 납치문제 정치적으로 이용 말라

입력 2019-08-19 11:31
북한 조선중앙TV가 지난 11일 전날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실시한 2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 장면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새로운 무기가 나오게 되었다고 못내 기뻐하시며 커다란 만족을 표시하시였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9일 “일본은 ‘납치문제’를 약국의 감초처럼 싸먹는 악습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가 납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특정실종자’로 분류한 이들이 최근 일본 내에서 잇따라 발견되자 이에 대해 반발한 셈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북한이 이날 쏜 발사체에 대해 기자들에게 얘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동신문은 이날 ‘가리울 수 없는 모략날조극의 진면모’라는 정세론 해설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신문은 “일본에서 ‘북에 의한 납치 가능성’이 있다고 하던 특정실종자가 발견돼 커다란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다”며 “일본 경찰이 밝힌 데 의하면 1974년 북에 의한 특정실종자 명단에 올랐던 남성이 지난해 11월 일본 국내에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앞서 일본 경찰은 지난 7일 44년 동안 특정실종자로 분류된 70대 남성을 일본 내에서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일본 경찰은 지난 5월에도 50대 특종실종자 1명을 일본에서 찾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은 북한에 의해 납치됐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 중 출국 기록이 있는 사람은 ‘납치 피해자’로 출국 기록이 없는 사람은 특정실종자로 분류하고 있다.

신문은 “‘납치문제’라는 것이 얼마나 허황하고 터무니없으며 무근거한 날조품인가 하는 것을 다시금 뚜렷이 실증해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내에서는 아베의 정치적 인기를 올리는 데서 ‘효자노릇’을 하던 납치문제가 오히려 부메랑이 돼 그의 목을 조이고 있다는 비난과 조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는 2002년 관방장관 시절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평양 방문에 동행, 일본인 납치사건을 부각시키면서 스타 정치인으로 발돋움했다. 이후에도 그는 유엔총회 연설 등에서 이 문제를 줄곧 거론하며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그는 지난해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와 핵·미사일 문제가 해결되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북·일 국교정상화를 한다는 일본의 방침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한 바 있다. 같은 해 4월 미국 방문을 앞두고는 1977년 북한에 납치된 요코타 메구미의 가족을 만나기도 했다.

신문은 “아베 패당은 이미 그 진상이 여지없이 드러난 납치문제를 아무리 떠들어대도 민심을 기만할 수 없고 여론을 오도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역사에 전무후무한 특대형 납치범죄를 안고 있는 일본이 과거죄악을 청산할 대신 도리어 제 편에서 납치문제를 운운하며 반공화국도발에 미쳐 날뛰고 있는 것은 파렴치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