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문재인정부의 실정을 규탄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다시 ‘거리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한국당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사태에 반발해 지난 4월 20일부터 한 달 동안 장외 투쟁을 한 지 3개월여 만이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18일 입장문을 내고 “국민의 경고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해 오는 24일 광화문에서 구국 집회를 열겠다”며 “이 정권의 국정 파탄과 인사 농단을 규탄하는 ‘대한민국 살리기 집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과 이 정권이 대한민국 파괴 행위를 멈추지 않는다면, 국민의 분노는 더욱 거세질 것”이라며 “장외투쟁, 원내투쟁, 정책투쟁의 3대 투쟁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당 핵심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경제폭망, 외교·안보 파탄 실정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문제까지 더해 대국민 보고회를 하기로 했다”며 “황 대표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됐다”고 말했다.
한국당이 다시 거리 투쟁을 택한 것은 당 지지율 하락과 황 대표의 대선주자 지지율 하락 등 리더십 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지난 9일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당 지지율이 18%(신뢰 수준 95%, 표본오차 ±3.1%p)로 황 대표가 취임하기 전 수준으로 내려갔다. 지난 봄 장외투쟁을 마친 뒤인 5월 둘째 주에 당 지지율이 25%까지 상승한 이후 점차 낮아진 것이다. 황 대표의 대선주자 선호도도 지난 2일 실시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두 달 연속 하락해 19.6%(신뢰 수준 95%, 표본오차 ±2.0%p)에 머물고 있다. 지지부진한 지지율로 황 대표 리더십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대규모 정부 규탄 행사로 분위기를 뒤집어 보겠다는 포석이다.
하지만 장외 집회 결정에 대해 당 내부에서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단발성 장외투쟁보다는 ‘당 혁신과 통합’과 같은 중장기적 비전을 먼저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당의 혁신과 통합에 대한 메시지 없이 장외투쟁을 하면 ‘하룻거리’ 밖에 안 된다”며 “이 상황에서 (정부의 실정에 대한) ‘리액션’만으로 메시지를 아무리 내도 국민들은 하루 만에 잊어버린다”고 비판했다.
장외 집회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집회 참여자 대부분이 강경 보수파로 구성될 경우 ‘중도층 확보’에는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 대표와 일부 지도부 인사들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되는 장외집회 특성 때문에 ‘당대표 띄워주기용’이라는 지적도 있다.
여당은 한국당의 장외투쟁을 ‘황 대표의 대권 놀음’이라고 폄하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황 대표에게 장외투쟁만큼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높일 수단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황 대표의 대권 놀음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며 “가출이 잦으면 집에서 쫓겨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장외투쟁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조사의뢰자 : 오마이뉴스(리얼미터)
2. 조사일시 : 8월6일~8일(갤럽), 7월29일~8월2일(리얼미터)
3.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