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의 공포’속 부채 디플레 오나…2분기 가계대출 15.4조↑

입력 2019-08-18 13:31
연합뉴스


올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이 1470조원 안팎으로 불어났다. ‘R(Recession, 경기침체)의 공포’ 속 부채 증가는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빚 부담은 더 늘어나는 ‘부채 디플레이션’을 불러올 수 있다.

한국은행은 18일 2분기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전 분기 대비 15조4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말 전체 가계대출 잔액이 1451조9000억원이었으므로 2분기 말 잔액은 1467조3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가계대출에는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의 대출에 학자금대출 등 ‘기타대출’이 포함돼 있다. 기타대출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가계대출은 정부 규제와 주택 매매 감소가 맞물리며 지난 1분기 3조원 늘어나는 데 그친 바 있다. 그러나 2분기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1분기(5450호)의 배 이상인 1만3919호로 늘어나고, 자금 수요가 규제가 촘촘한 주택담보대출 대신 기타대출로 몰리며 2분기 들어 증가세가 15조4000억원으로 커졌다.

7월 들어서는 대출 증가세가 거세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7월 한 달 새 5조8000억원 늘어 5월(5조원)과 6월(5조4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컸다. 이런 추세라면 가계대출 잔액은 곧 1500조원을 넘을 전망이다.

가계대출은 경제 성장세보다 더 빠르게 늘고 있다. 2분기 가계대출은 작년 동기 대비 4.1% 안팎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3.0%)과 가계소득 증가율(3.9%)보다 높은 수치다. 가계대출이 경제 규모와 소득보다 빨리 늘어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R의 공포 속에서도 부동산 대출이 계속 늘어나는 상황이다. 고성장·고물가에서는 부채 증가가 상대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자리도 많고 화폐 가치가 계속 떨어져 실질적인 부채 부담은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침체 상황에서는 주가와 부동산 등 자산가격은 하락하는데 물가 상승률이 너무 낮아 실질적인 빚에 대한 부담은 더 늘어난다. 또 가계는 빚을 갚기 위해 자산을 매각하거나 소비를 줄인다. 이렇게 되면 물가는 더 낮아지고 민간소비가 감소한다.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데 빚 부담은 늘어나는 ‘부채 디플레이션’이 나타나면 결국 물가 상승률과 성장률이 다시 낮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최근 서울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나타났기 때문에 부채 디플레 우려는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방안 발표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감정원은 12일 조사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2% 올랐지만 상승폭은 전주 0.03%보다 소폭 줄었다고 발표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