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레미콘 파업사태가 제조사와 노조간 상호비방 양상을 보이며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다.
18일 울산시와 레미콘 업계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건설노조 울산건설기계지부 레미콘지회 조합원 400여명은 지난 7월 1일 부터 레미콘 운송기사들은 4만5000원인 운송비 단가를 5만원으로 인상해달라고 요구하며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레미콘 지회에 따르면 운송기사 한 달 수입은 300만원 정도인데 보험료와 유류비 등을 제외하면 실제 손에 쥐는 돈은 150만원도 안 된다며는 것이다.
반면 사업자들은 2012년 4월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평균 5.5%씩 1회당 운반비 2000원을 인상함으로써 전국에서 제일 높은 운반비를 지급하고 있다며 건설경기 침체로 더 이상의 인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노사 간 대화에 아무런 진전이 없자 레미콘 노조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제조사 측이 ‘지역건설노조’를 만들겠다는 노조 분열음모가 폭로됐다”며 “레미콘제조사와 관련 계열사들에 대한 불법, 위법사실과 노조탄압 담합행위 등을 폭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17개사 레미콘 사업자들은 지난 14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그동안 제조사 측은 인내심을 가지고 정상화를 기대하며 침묵으로 일관해 왔으나 시위와 유인물을 통한 유언비어성 비난이 자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들은 울산시가 중재에 나서 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울산시는 레미콘 운송기사가
회사와 운송 계약을 맺는 사업자 신분이고, 사업자들 간의 분쟁에 지자체가 개입할
법적 근거는 없어 중재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레미콘 노사 갈등이 장기전으로 들어가자 각종 공사현장에서 공사차질에 따른 직·간접적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울산시 종합건설본부에 따르면 현재 울산지역 13곳의 관급공사 현장 가운데 레미콘 노조의 파업 등으로 차질을 빚고 있는 곳은 7곳이다. 특히 농수산물도매시장 수산물소매동은 오는 10월 완공을 목전에 두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내년 개교 예정인 7곳도 개교에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일부 공사 현장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레미콘을 공급 받으려 해도, 운송기사들이 막거나 작업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