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장관이 다음 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한·일·중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만난다. 첨예한 양국 갈등 해소를 위한 입구를 만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오는 24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 여부 결정 시한, 28일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안보상 수출 심사 우대국가) 한국 배제 조치 시행 등 주요 고비를 앞두고 이루어지는 만남이다.
외교부는 오는 20∼22일 베이징시 외곽에서 열리는 제9차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참석한다고 16일 밝혔다.
3국 외교장관 회의는 21일 열릴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앞뒤로 한·일 한·중 등 양자회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일, 한·중 양자 회담 개최 문제는 관련국과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한·일 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의 회담이 관계 개선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일은 지소미아 연장 여부 결정 시한(24일)과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안보상 수출 심사 우대국가) 한국 배제 조치 시행(28일) 등을 앞두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며 대화 기조를 강조한 만큼 한·일 외교장관이 만나 갈등 해소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다만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와 지난해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 문제 등에 대한 양국 간 입장 차가 여전히 커 회담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앞서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은 이달 초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계기로 양자 회담을 했으나 빈손으로 끝났다.
3년 만에 열리는 이번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서는 올 해안에 의장국인 중국에서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문제에 대해 협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