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은 문재인 대통령의 15일 광복절 연설에 대해 대일 비판이 약화됐다고 평가하고 일본에 대화를 요청한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몇몇 정부 관계자들의 얘기가 언론 보도로 전해졌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외무성 간부가 “분명히 톤이 바뀌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일본 정부의 수출관리 엄격화가 문 대통령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견해도 있다”면서 “결국 대응 수단이 없어 마음 약해진 것이 아닌가. 일본과 대화하고 싶은 것”이라는 정부 관계자의 분석을 덧붙였다.
지지통신도 외무성 간부가 전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문 대통령이 발표한 메시지까지 포함해 “반일적 언동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들은 문 대통령이 광복절 연설에서 위안부와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점에 주목했다.
교도통신은 “역사 문제에 대한 언급을 억누르고 통상 면에서 대립 해소를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싶다는 생각을 나타냈다”고 평가했고, NHK는 “일본에 대한 비난의 톤을 눌러서, 양국 협의를 통한 외교적 해결을 서두르겠다는 생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은 “역사 문제에 대해 직접적 일본 비판을 피했다”며 문 대통령의 연설을 “사실상의 경제연설”이라고 평가했다. 마이니치신문은 ‘한국 대통령 광복절 연설, 일본에 대화를 통한 해결 촉구’라는 제목으로 이날 연설을 보도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