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역사의 증인이다. 일본과 아베는 사죄하라.”
광복 74주년을 맞은 15일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95) 할아버지와 양금덕(90) 할머니는 이렇게 외쳤다. 깊어진 한·일 갈등 속에서 힘을 모으고 있는 국민들도 한 목소리를 냈다.
이 할아버지와 양 할머니는 이날 서울광장에서 열린 서울 중구 세종대로 서울광장에서 열린 ‘광복 74주년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에 참석했다. 겨레하나, 민족문제연구소 등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이 주최한 이 대회에는 2000여명(주최 측 추산)의 시민들이 모였다. 빗방울이 떨어지는 궂은 날씨에도 광장을 가득 메운 시민들은 올바른 역사를 세우는 일에 모두가 힘을 합치자며 목소리를 높였다.
‘강제동원 사죄하고 배상판결 이행하라’는 팻말을 든 이 할아버지는 “할 말은 많으나 목이 메 여기서 말을 다 못 드린다”며 “(국민들께) 미안하고 대단히 감사하다”고 말했다.
양 할머니는 일본에서 겪었던 고초를 털어놓으며 “그때는 우리가 당했지만 이제는 강한 나라가 됐으니 모두가 한 몸 한뜻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일본에서 당한 모진 고생을 세계가 알고 있다. 이제는 아베에게 사죄 한마디 듣는 게 소원”이라며 “아베가 사죄하도록 (여러분이) 함께해달라”고 당부했다.
임헌영 강제동원 공동행동 공동대표는 이날 대회사에서 “불과 70여년 전 할아버지, 할머니가 겪었던 비극을 역사에서 추방하려면 과거를 청산해야 한다”며 “그 첫 관문은 피해자에 대해 올바른 처우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야노 히데키 일본 강제동원 공동행동 사무국장은 지난해 한국 대법원의 판결을 “일본 정부와 기업이 강제동원 피해를 직시하라고 이야기한 판결”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들과 함께 싸워나갈 것을 결의했다.
이날 시민들은 우비를 입은 채 주한일본대사관까지 행진했다. ‘아베는 사죄하라’ ‘강제동원 배상하라’ 등의 구호가 적힌 만장 100여개와 피해자들의 영정 사진, ‘평화의 비둘기’ 풍선을 손에 들었다. 이 할아버지와 양 할머니는 휠체어를 탄 채 함께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