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4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일본이 성공 개최에 사활을 걸고 있는 내년 도쿄 올림픽을 거론하면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했다. 최악의 한‧일 관계 속에서도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어서 향후 외교적 해법에 힘이 실릴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15일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광복절 정부 경축식에서 “우리는 과거에 머물지 않고 일본과 안보·경제협력을 지속해 왔다”며 “일본이 이웃나라에게 불행을 주었던 과거를 성찰하는 가운데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이끌어가길 우리는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과거 일본이 벌인 전쟁을 하나하나 언급했지만, 일본 정부를 직접 비판하진 않았다. 문 대통령은 광복에 대해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태평양전쟁까지 60여 년간의 기나긴 전쟁이 끝난 날이며, 동아시아 광복의 날이었다”며 “일본 국민들 역시 군국주의의 억압에서 벗어나 침략전쟁에서 해방됐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과거를 성찰하는 것은 과거에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딛고 미래로 가는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일 갈등의 도화선이 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등 과거사 문제도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도쿄 올림픽이 공동 번영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내년에는 도쿄 하계올림픽, 2022년에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열린다. 올림픽 사상 최초로 맞는 동아시아 릴레이 올림픽”이라며 “동아시아가 우호와 협력의 기틀을 굳게 다지고 공동 번영의 길로 나아갈 절호의 기회”라고 했다.
그러면서 “세계인들이 평창에서 ‘평화의 한반도’를 보았듯이 도쿄 올림픽에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와 관련해 “일본 경제도 자유무역의 질서 속에서 분업을 이루며 발전해왔다”며 “국제 분업체계 속에서 어느 나라든 자국이 우위에 있는 부문을 무기화한다면 평화로운 자유무역 질서가 깨질 수밖에 없다. 먼저 성장한 나라가 뒤따라 성장하는 나라의 사다리를 걷어차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일본 언론은 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대체로 “역사 문제에 대한 언급을 삼가고, 대일 비난의 톤을 억제했다”고 소개했다.
NHK와 아사히신문 등은 문 대통령이 한·일 관계의 현안인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나 위안부 문제는 언급하지 않으면서 일본과의 대화 및 협력을 거론한 점을 주목했다. NHK는 “양국 간 협의를 통한 외교적 해결을 서두르고 싶다는 의도가 보인다”고 분석했고, 아사히신문 역시 “관계 개선을 호소했다”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이날 “일본 비판을 삼간 문 대통령의 연설이 이뤄짐에 따라 일본 정부는 향후 한국 측에서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할지 주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극우 성향의 산케이신문은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 피해자 판결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 해결에 관여하는 것을 거부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한·일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은 어둡다”고 주장했다.
임성수 장지영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