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 74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북한이 미사일을 쏘는 데 무슨 평화 경제냐’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그러나 우리는 보다 강력한 방위력을 보유하고 있다. 한반도의 긴장이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궁극적 목표는 대결이 아니다 대화다. 미국이 북한과 대화를 계속하고, 일본도 대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념에 사로잡힌 외톨이로 남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안보 소홀을 지적하는 자유한국당 등을 겨냥한 발언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북한을 일방적으로 돕자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체제 안전을 보장하며 함께 잘 살자는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분단체제를 극복하여 겨레의 에너지를 미래 번영의 동력으로 승화시켜야 한다. 평화경제는 평화경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위에 북한이 핵이 아닌 경제와 번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화와 협력을 계속해나가는 데서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미는 지난 1년 8개월, 대화국면을 지속했다”며 “최근 북한의 몇 차례 우려스러운 행동에도 불구하고, 대화 분위기가 흔들리지 않는 것이야말로 우리 정부가 추진해온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북한의 도발 한 번에 한반도가 요동치던 그 이전의 상황과 분명하게 달라졌다”며 “여전히 대결을 부추기는 세력이 국내외에 적지 않지만 우리 국민들의 평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이 있었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말의 판문점 회동 이후 3차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북·미 간의 실무협상이 모색되고 있다. 아마도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며 “남·북·미 모두 북·미 간의 실무협상 조기개최에 집중해야 할 때”라며 “불만스러운 점이 있다 하더라도, 대화의 판을 깨거나 장벽을 쳐 대화를 어렵게 하는 일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불만이 있다면 그 역시 대화의 장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할 일이다. 국민들께서도 대화의 마지막 고비를 넘을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 고비를 넘어서면 한반도 비핵화가 성큼 다가올 것이며 남북관계도 큰 진전을 이룰 것이다. 경제협력이 속도를 내고 평화경제가 시작되면 언젠가 자연스럽게 통일이 우리 앞의 현실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