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14일 ‘결핵 고 위험국’인 북한에서 내년 6월이면 결핵 치료제 재고가 바닥날 것으로 유엔 기구가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유엔 산하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의 루치카 디티우 사무국장은 지난달 방북 결과 관련 VOA 인터뷰에서 “북한에서 내년 6월, 늦어도 7월에는 성인용 1차 약제가 동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2월 북한에서 결핵 퇴치 사업을 벌이던 국제 민간단체인 ‘결핵·에이즈·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글로벌 펀드’가 지원을 중단했고, 이로 인한 공백이 현재까지 메워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결핵이 발병하면 가장 먼저 사용되는 1차 약제는 항결핵제로 소요량이 많다. 사업단에 따르면, 북한은 세계보건기구(WHO)의 도움으로 최근 아동용 결핵약과 다제내성결핵(치료제에 내성이 있는 중증결핵)용 2차 항결핵제는 확보한 상태다.
디티우 사무국장은 이어 “북한 의료진의 결핵 치료에 대한 이해 수준이 인상 깊었다”며 “결핵약의 관리와 처방은 잘 되고 있었으며 각 환자를 위한 결핵약이 개별적으로 보관돼 있었다”고 방북 결과를 보고했다.
다만 “북한은 국제 제재와 지원금 감소로 진엑스퍼트(GeneXpert) 같은 결핵 진단 장비 등이 부족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진엑스퍼트(GeneXpert)는 의료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결핵을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다.
그는 “진단 장비와 같은 의료기기가 미국에서 생산됐을 경우 미국으로부터 북한 반입 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 결핵약 구매에서 전달까지는 약 10개월이 소요된다”며 대북제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북한은 현재 WHO가 분류한 ‘결핵 고부담 국가’에 속한다. 이는 인구 10만명당 100명 이상에서 결핵이 발병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황선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