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동해도 피해입을 것”

입력 2019-08-14 14:44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할 경우 동해에도 방사성 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숀 버니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14일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공동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의 문제점과 진실’ 기자간담회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방사성 오염수 문제는 그간 알리려던 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밝혔다.

버니 수석은 최근 이코노미스트에 “아베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 쌓여있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00만톤 이상을 태평양에 방류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2011년 원전 사고가 발생한 이후 후쿠시마 제1원전에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0만톤 가량을 보관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방사성 오염수 저장 탱크가 2022년 소진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버니 수석은 이날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0만톤을 태평양에 방류하면 동해의 방사성 물질도 증가할 것”이라며 “동해까지 유입되는데 약 1년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또 “도쿄전력이 2022년이면 저장 탱크 용량이 더 이상 허락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는 오염수 방류를 위한 기본적인 논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정부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방류 계획을 중단할 것을 일본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며 “지난해 국제해사기구(IMO)당사국 회의에서 한국정부는 오염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고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앞으로도 한국 정부의 구체적인 요구들이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2020년 도쿄올림픽 야구 경기장에서 불과 290m 떨어진 곳에 방사능 오염토 적재소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같이 주장하며 “방사능 오염 처리 상태가 어떤지, 실제 오염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산업부 차원에서 기술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