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3일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일본의 수출 보복 대응 카드로 ‘D램’을 언급한 지 하루만에 “수출 규제 품목이나 대일 상응조치가 아니다”고 해명하고 나섰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D램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공급 체계에 차질이 생기면 다른 나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그것 자체로 (일본에 대응하는) 카드가 될 수 있다는 것이지, D램을 대일 수출제한품목으로 지정하거나 일본 보복에 대한 상응조치로 삼는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 차장은 전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우리의 D램 시장 점유율은 72.4%로,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라) D램 공급이 2개월 정지되면 전 세계 2억3000만대의 스마트폰을 만드는 데 차질이 생긴다”며 “이런 카드가 옵션으로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D램의 일본 수출을 규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이 튼튼하다”고 한 것과 관련해 무디스와 피치의 평가에 따른 발언이라는 입장이다. 고 대변인은 “지난달 기준으로 3대 국제 신용평가사 모두 한국의 신용 상황이 일본보다 두 단계 더 위에 있다고 평가했다”며 “근거 없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려운 상황을 함께 힘 모아 헤쳐나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