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대동맥’ 대구~광주 달빛내륙열차 조기 건설 14개 지자체 뭉친다

입력 2019-08-13 16:02
남북철도와 연계한 달빛내륙철도 노선 예상도. 대구시 제공

영·호남 지방자치단체 14곳이 영·호남 상생 발전의 대동맥 역할을 할 ‘대구~광주 달빛내륙철도’ 조기 건설을 위해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달빛내륙철도가 경유하는 대구와 광주,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경북 고령, 경남 합천·거창·함양, 전북 장수·남원·순창, 전남 담양의 실무자들은 13일 광주시청에 모여 ‘경유지 지자체 실무자협의회’를 열었다.

이 회의는 다음달 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소회의실)에서 달빛내륙철도 조기 건설을 위해 열리는 국회 포럼 준비 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달빛내륙철도 조기 건설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고 대국민 홍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 포럼에는 철도가 경유하는 지역의 지자체장들과 해당 지역 국회의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포럼에서 조기 건설의 선결 과제인 국토교통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에 달빛내륙철도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철도망 구축계획에 달빛내륙철도가 반드시 포함돼야 이후 일정을 도모할 수 있다”며 “2025년 착공, 2030년 준공이 목표다”고 말했다.

실무자협의회에는 당초 사업을 추진했던 10개 지자체 이외에 경북과 경남, 전북, 전남 실무자들도 처음으로 참석해 힘을 보탰다. 회의에서 경북·경남·전북·전남은 달빛내륙철도 조기 건설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실무자들은 4개 광역지자체가 새로 힘을 보태기로 함에 따라 14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과 지자체별 세부 홍보 방법 등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대구시 담당자는 “이번 회의에서 4개 광역지자체가 함께하기로 한 것이 가장 큰 성과다”며 “새로 포함된 지자체와 기존 지자체들이 함께 종합적인 계획을 세운 후 지자체별 세부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앞서 달빛내륙열차의 경우 지자체와 지역 정치인들이 올해 정부예산에서 달빛내륙철도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 5억원을 확보하고 지난 6월 국토부가 용역에 착수하는 등 건립이 가시화되고 있다.

4조8987억원(전액 국비)의 예산으로 대구~광주(191㎞)를 잇는 달빛내륙철도가 생기면 최고 시속 250㎞의 KTX를 통해 1시간 이내에 왕래가 가능해진다. 철도가 지나는 지자체들은 1시간 이내 공동 생활권으로 묶인다. 영·호남 주민 1300만명의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초광역 남부경제권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남북철도와의 연결을 통해 남북 경제협력사업 확대와 국토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