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수치스러운 8·5 재판국 판결을 지켜보며

입력 2019-08-12 19:59 수정 2019-08-12 21:28

명성교회
김재훈 장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총회 재판국이 지난 5일 심야에 명성교회 김하나 위임목사 청빙이 교단헌법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린 일은 한국 기독교계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낸 사건입니다.

법리적인 면에서 맞지 않으며, 절차적인 면에서도 억지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한바탕 광풍이 지나간 뒤 냉정하게 따져 본다면 ‘한국 개신교의 단합과 발전을 후퇴시킨 잘못된 결정’이라는 평가를 받을 때가 반드시 올 것입니다.

이른바 ‘교회세습(목회 대물림)금지법’은 2013년 제98회 예장 통합 총회에서 도입이 결의되고, 2014년 제99회 총회에서 성문화되었습니다.

당시에 개교회 교인들이 담임목사를 선택할 권한을 제한하고, 목회자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논란이 일었습니다.

논의 결과 ‘은퇴한’이 아니라 ‘은퇴하는’ 목사 자녀의 위임목사 청빙이 제한되는 방향으로 총회 헌법 28조6항의 입법이 이뤄졌습니다.

이미 물러난 목사의 자녀에게까지 위임목사 청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이 배경에 깔려 있었습니다.

명성교회는 그러한 입법취지를 충실히 따랐습니다.

전임 목사가 물러난지 2년여가 지난 뒤 교인들은 교단헌법과 교회정관에 따라 청빙위원회와 당회, 공동의회라는 민주적 절차를 거쳐 압도적 다수의 찬성으로 서울 동남노회에 김하나 위임목사 청빙을 청원하였고, 서울 동남노회 역시 합법적 절차를 거쳐 청빙 청원을 승인하였습니다.

제102 회 총회 재판국,헌법위와 규칙부 등도 잇따라 명성교회 위임목사 청빙이 적법하다는 판결과 유권해석을 내렸습니다.

법리 부서가 최종해석한 내용을 총회 결의로 무효화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제103회 총회에서 탈법적인 일이 벌어졌습니다.

재심의 사유가 전혀 없음에도 제103 회 총회는 임기가 보장된 재판국원 전원을 교체하고 재심 절차에 착수토록 결정했습니다.

불법적인 재판국원 교체 와 재심 결정이 일부 여론을 부풀린 비방전과 시류에 편승한 일방적인 주장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것부터 큰 문제입니다.

물리적 압박과 시위가 총회장을 지배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이후 총회 재판국 심의 절차를 둘러싸고 벌어진 행태는 그야말로 한국 개신교계를 수렁으로 빠뜨리는 폭거였습니다.

명성교회 반대파들은 주일예배시간에 재판국원들이 소속된 교회까지 찾아가 그들 뜻때로 판결하도록 피켓과 확성기 시위를 하며 압력을 가했습니다.

일부 이단세력까지 섞여 정통기독교계를 흔들려고 했습니다. 중립적인 3명의 재판국원들을 명성교회 반대 성향 인사로 바꾸는 등 민주적 절차라고는 도저히 볼 수 없는 일들이 다반사로 벌 어졌습니다.

이후 몇 번의 재판국 회의때마다 반대파들은 고성과 삿대질, 협박성 질문으로 재판국원들을 위협했습니다.

지난 7월16일 재판국 회의가 끝난 뒤 재판국원들에게 행해진 명성교회 반대파들의 폭언 등 야만적 행위는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야 합니다.

그래서 준엄한 심판을 받고, 기독교계가 함께 반성하는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이런 혼란 가운데 나온 ‘8·5 재판국 판결’은 교계 부조리의 정점을 보여 주었습니다.

자정까지 회의를 끌다가 이전 재판국과 헌법위의 결정을 뒤집었습니다.

법리를 우선 따져야 하는 재판국원들이 총회 회관을 뒤덮은 야유와 협박의 목소리에 굴복한 것입니다.

무리한 판단을 둘러싼 비난을 피하기 위해 표결에 부친 사실도 속였습니다.

재판국원들이 투표를 했고 결과는 8:6이었던 것으로 알려지 고 있으나 외부로는 ‘만장일치’라고 포장했습니다.

무엇이 두려워 야밤에 발표하고 표결 내용도 떳떳하게 밝히지 못합니까. 그야말로 날치기,대국민 사기극이라는 비판을 받아 마땅합니다.

교회법이 미비하다면 그를 개정하거나 보완할 일이지 목소리를 높이고 겁박하는 이들의 주장에 따라 법해석이 이렇듯 오락가락 해서는 안됩니다.

명성교회 교인들과 서울 동남노회의 입장은 분명합니다.

‘8·5 재판국 결정’이 나오기까지 절차와 과정이 하나님의 뜻에 맞지 않으며 차분한 분위기에서 엄밀하고 공정한 법해석이 다시 이뤄진다면 다수 교인들의 바램이 실현되리라 믿습니다.

오는 9월 예장 통합 총회 논의를 비롯해 주님이 보시기에 합당한 절차와 방법을 통해 잘못된 재판국 판결을 기필코 바로 잡아야합니다.

그러지 못한다면 한국 개신교의 앞날은 캄캄한 안개 속을 헤매이며 영원히 회복될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질 것입니다.

왜 우리가 모든 것을 심판하고 결정하는 심판자의 지위에 앉으려 하십니까?

하나님께서 하셔야 합니다. 우리는 오로지 기도드려야 합니다.

우리 개신교의 앞날과 이 나라의 앞날을 위하여 엎드려 눈물로 기도드리며 기다려야 합니다.

우리들 자신을 나타내고 내세우려는 잘못된 싸움은 이제 멈추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