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상생형 ‘광주형 일자리’의 주축인 광주지역 노동계가 ‘울산형 일자리’를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비정규직만 양산하는 나쁜 일자리라는 이유에서다.
광주 노동계는 또 당초 광주에 짓기로 한 친환경차 부품공장이 울산으로 넘어갈 공산이 커졌다고 우려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등은 12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비정규직을 확대하는 울산형 일자리를 당장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광주시와 현대차가 광주 빛그린산단에 친환경 자동차 부품공장을 짓겠다는 약속이 물 건너 간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며 광주시가 추진 상황을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 노동계는 “현대모비스의 울산 전기차 모듈 공장은 노사민정 대타협을 전제로 한 상생형이 아닐뿐더러 비정규직을 양산하고 기존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의 고용을 위협하는 나쁜 일자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울산형 일자리가 기존 노동자 구조조정의 길을 터주고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을 산산이 깨부수는 불공정을 불러올 것이라는 것이다.
지역 노동계는 “울산형 일자리가 완전히 폐기될 때까지 전국적으로 투쟁을 확산하겠다”며 “문재인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를 훼손하는 ‘짝퉁’ 일자리 창출을 중단하고 지원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산형 일자리가 광주형 일자리의 경쟁력을 깎아먹을 수 있다는 우려도 지적했다.
지역 노동계는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완성차 공장과 함께 광주에 짓기로 한 친환경차 부품공장이 결국 울산으로 넘어가게 됐다며 대책수립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에는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이기곤 전 기아자동차 광주지회자 등 지역 노동계 대표 50여명이 참석했다.
울산시는 지난달 현대자 최대 부품 제조 계열사인 현대모비스로부터 3300억원의 투자 유치를 받아 전기차 구동모터와 배터리 등을 생산하는 전기차 부품 전용공장을 건립하는 ‘울산형 일자리’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병훈 광주 문화경제부시장은 “현대모비스 친환경차 부품공장을 울산에 빼앗겼다는 우려는 지나치다”며 “전기차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만큼 현대차가 국내 여러 곳에 부품공장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