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일본수출 규제 기업에 대한 보증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중기부는 지난 2일 국회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을 미세먼지 저감설비, 수출중소기업, 벤처 투자 지원방침을 밝히면서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의 일본 수출규제 피해 기업 보증 규모도 공개했다.
중기부와 기보는 일본 수출규제 피해 기업에 3300억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추경에서 기보에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 예산이 편성되지 않았다. 추경예산은 수출중소기업에 120억, 미세먼지 저감 설비 설치 지원에 192억원, 벤처 지원에 88억원이 통과됐다. 기보는 일본 수출규제기업에는 보증을 확대해 피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보는 기존 일본수출규제 보증기업에 대한 1300억원대 보증 만기를 1년 연장한다. 금융 대출을 받기 위해 기보 보증을 받은 기업들은 약정에 따라 보증 만료 전에 대출금 일부를 상환해야 보증기간을 연장받을 수 있다. 그런데 기보가 보증 지원 기간을 연장함에 따라 상환 부담을 덜게 됐다. 기보는 신규 보증 2000억원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기보와 업무협약을 맺은 국민은행이 특별출연금과 보증료 감면 등을 통해 1000억원을 책임졌다.
기보는 내년에도 기존보증 만기연장 3700억원, 신규보증 공급 40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2년간 일본수출 규제 관련 보증 지원만 1조1000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피해기업들은 지난해 1월 이후 일본 수출규제 피해품목을 구매한 계약서를 증빙하면 실태조사를 거쳐 보증만기 연장 및 신규보증을 받을 수 있다.
기보는 이 밖에도 6700억원 규모의 보증을 공급하기로 했다. 우선 수출 중소기업 보증 3000억원, 미세먼지 저감시설 도입기업·기술개발기업 보증 2500억원, 제2벤처 붐 가시화를 위한 ‘예비유니콘 특별보증’ 및 ‘엔젤플러스 프로그램 보증’ 1200억원이 추가 공급된다. 추경예산은 미세먼지 저감에도 192억원, 예비 유니콘 기업 등 벤처기업 투자에도 88억원을 투입했다. 보증공급 규모는 6700억원에 달한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