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있을 때 올렸던 페이스북 글들이 인사청문회 관문 앞에 선 그의 최대 공격 타깃이 되고 있다. 야당들은 조 후보자의 ‘SNS 정치’가 국민 분열의 온상이었다는 점을 들어 문재인 대통령에게 후보자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조 후보자가 민정수석 당시 한 일방적 인사나 페이스북 발언 등을 통해 국민을 갈라치기 한 것이 도를 넘었다”고 말했다. 이어 “조 후보자는 논문 표절이나 인사실패 문제보다 더 크고 중요한 잘못을 저질렀는데, 그것은 그가 행한 국민 분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조 후보자 머리에는 50.1대 49.9의 선거 논리밖에 없다”며 “지난달에도 일본 경제보복과 관련해 ‘죽창가’를 (페이스북에) 게재해 논란이 됐고, 대법원 판결을 부정·매도하는 사람을 친일파로 규정하면서 국민을 내 편, 네 편으로 갈라치기 했으며, 2010년 발간한 대담집에서는 검사들이 ‘검찰을 쪼갠다’고 반발하면 ‘너 나가라’고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고 비판했다.
손 대표는 “자신과 이념이 다른 사람을 배제하고 갈라치기 하는 조 후보자에게 엄정한 법집행을 기대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정치권뿐 아니라, 일반 국민에 거부감이 큰 조 후보자를 법무부 장관 후보로 지명했지만, 과거 청산이나 사법개혁보다 훨씬 중요한 게 국민 통합”이라며 거듭 조 후보자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조 후보자는 민정수석으로 근무하는 동안에도 비뚤어지고 편향된 인식을 여지없이 드러내면서 정부와 견해가 다른 국민들을 친일파로 매도하는 사람이었다”고 비판했다. 또 “본연의 업무는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SNS 정치로 국론을 분열시키는 데 앞장섰고 민간인 사찰, 블랙리스트 의혹까지 받고 있다”고 했다.
조 후보자는 2년 2개월 간의 민정수석 재직 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도입이나 검·경 수사권 조정 등 권력기관 개혁 문제 등 현안이 있을 때면 페이스북 글을 통해 거침없이 자기 입장을 제기해 왔다. 특히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국면에서는 반일(反日) 여론전의 선봉에 섰다는 평가를 들을 정도로 몰아치듯 글을 올렸다.
조 후보자의 ‘SNS 정치’에 대한 비판도 계속됐지만, 그는 ‘마이웨이’를 고수하다 “저를 향해 격렬한 비난과 신랄한 야유를 보내온 일부 야당과 언론에 존중의 의사를 표한다”는 말을 남기고 청와대를 나왔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