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54)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인사청문회에서 답 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국회 인사청문회 전까지 ‘무대응 전략’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조 후보자는 12일 오전 9시50분쯤 인사청문회 사무실이 꾸려진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에 출근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취재진이 ‘회전문 인사에 대한 비판을 어떻게 생각하나’, ‘폴리페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 사직 계획이나 다른 대안이 있나’, ‘검찰은 괴물이라는 생각이 여전히 유효한가’ 등의 질문을 했다. 조 후보자는 “질문 사항이 있으실 것 같은데, 인사청문회 때 답변 드리겠다”고 짧게 답했다.
조 후보자는 이어지는 질문에 “제가 제 일하도록 해주세요”라고 말하고 사무실로 올라갔다.
더불어민주당은 조 후보자를 두고 ‘사법개혁 적임자’라고 평가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조 후보자 지명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야당은 조 수석의 청와대 민정수석 재직 당시 인사 검증 실패 논란,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원 폭로와 관련한 민간인 사찰 의혹, 서울대 복직·휴직을 둘러싼 폴리페서 논란, 소셜미디어(SNS) 활동 등을 문제 삼고 있다. 이 중 검찰 수사로 이어진 민간인 사찰 의혹의 경우 지난 4월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다.
야당은 조 후보자가 민정수석 퇴임 후 바로 법무부 장관에 기용된 데 대한 비판도 이어가고 있다. 2011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권재진 민정수석을 법무부 장관에 임명했을 때 당시 야당이었던 민주당은 “최악의 측근 인사, 회전문 인사”라며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조 후보자 자녀의 외고 진학과 54억7600만원의 재산 형성 과정 등 개인 신상에 대한 검증도 함께 이뤄질 전망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