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해 초·중·고교에서 역사교육을 강화하고, 소재·부품·장비 분야 인재를 집중 양성한다.
정부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제11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교육·사회 분야의 일본 수출규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2학기 개학 직후부터 초·중·고교에서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등을 설명하는 계기교육과 체험활동을 통한 역사교육이 실시된다. 계기교육은 정규수업시간에 진행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업을 할 때 선생님들이 관련 성취기준 단원을 앞부분으로 당겨서 교육부가 제공하는 교사학습자로로 활용해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 한일 관계사와 갈등, 해결방안 등을 연구하는 ‘동북아 역사전문가 협력체계’도 구축키로 했다. 역사인식을 전반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시민강좌를 개설하고 역사서적도 개발·보급한다.
정부는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지만 국내 기술력이 미흡한 소재·부품·장비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이르면 내년부터 대학에 3~4학년 대상 관련 연계·융합전공이 신설되도록 할 방침이다. 또 대학들이 연계·융합전공 신설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주요 재정지원사업 평가지표에 연계·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정부는 두뇌한국(BK)21 사업 등 5개 부처 18개 재정지원사업을 연계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인재양성이 신속히 이뤄지게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에서 각 부처 사업을 총괄 조정할 예정이다. 국방부도 전문연구요원제도를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문인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달 14일 ‘일본군 위안부(성노예제) 피해자 기림의 날’ 정부 기념식을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기로 했다. 또 전시·공모전, 특별영화 상영, 지역별 추모·문화행사 등을 계기행사로 추진한다.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항일 역사유적·관광지로 구성한 ‘광복절 역사여행’, ‘광복여행 코스 10선’ 등도 마련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광복여행 코스 10선 등에 참여하는 분들에 대해서 여행비 지원을 할 계획”이라며 “여행을 갔다 온 분들이 이후에 후기를 올려주면 이에 대한 시상을 하는 이벤트 등을 구체적으로 진행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질 높은 인재 양성을 비롯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정책 추진에 관련 부처가 보다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