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9일 법무부 장관을 포함한 장관급 부처 7곳 안팎을 대상으로 개각을 단행할 전망이다. 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법무부 장관 임명이 기정사실화됐고, 국회의원 겸직 장관들도 대부분 자리를 내려놓고 내년 총선 준비를 위해 국회로 복귀한다. 보수 야당은 개각 발표 전부터 조 전 수석 임명을 예상하면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8일 청와대와 여권에서 나오는 말을 종합하면 이번 개각에서는 장관 중 박상기 법무부 장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이 교체 대상이다.
법무부 장관 후임으로는 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사실상 확정됐다. 과기부 장관은 애초 유 장관의 유임이 예상됐지만, 막판에 최기영 서울대 공대 교수 카드가 급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 보복이 진행되면서 반도체 전문가인 최 교수 기용으로 굳어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농식품부 장관 후임으로는 각각 김현수 전 농식품부 차관, 여가부 장관 후임으로는 홍미영 전 인천 부평구청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홍 전 구청장이 아닌 다른 인물이 지명될 거라는 전망도 막판까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조현옥 전 청와대 인사수석의 이름도 거론됐지만 이른바 ‘조조(조국‧조현옥)’ 라인이 내각으로 돌아올 가능성은 작다는 게 여권 기류다.
내년 총선에 출마해야 하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개각 대상이었지만 이번엔 유임될 전망이다. 애초 교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던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유임이 예상된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이동으로 비어 있는 공정거래위원장에는 조성욱 서울대 교수가 유력 거론된다. 사의를 공개 표명한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후임으로는 각각 은성수 수출입은행장과 표완수 시사인 대표가 유력하다.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의 교체 가능성도 거론된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후임 주미대사에 문정인 통일외교안보특보를 기용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개각은 김연철 통일부·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등이 지명됐던 올해 3·8개각 이후 5개월 만이다. 애초 집권 중반기를 이끌기 위해 중폭 이상의 개각이 예상됐지만, 후임자 물색 난항 등으로 폭이 좁아졌다.
자유한국당은 조 전 수석과 문 전 특보 입각 검토에 대해 맹비판했다. 황교안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만과 독선의 결정판”이라며 “조 전 수석은 본연의 임무인 인사검증에 번번이 실패한 사람이다. (조 전 수석이) 부적격 무자격 장관들을 양산한 장본인으로 민간인 사찰과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까지 받고 있다”고 말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주미대사 인선과 관련해 “부적격을 넘어서 극히 위험한 인사다. 한‧미‧일 삼각 공조를 벗어나서 북·중·러로 가겠다는 의사표시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조국 사랑을 재확인한 것 외에는 아무 의미도 찾을 수 없는 하나 마나 한 개각이다. 인사 참사의 주역을 법무부 장관으로 영전시키고, 무책임을 날마다 입증하고 있는 외교·안보라인을 그대로 유임시키는 것은 국민에 대한 도전”이라고 혹평했다.
임성수 심우삼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