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방사능 오염수 100만t 태평양 방류 계획… 한국 특히 위험

입력 2019-08-07 19:01 수정 2019-08-07 19:18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한 100만t이 넘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할 계획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실제 방류가 이뤄지면 특히 한국의 피해가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7일 ‘이코노미스트’ 최신 호에 실린 ‘일 방사성 오염수에 한국 노출 위험 커져’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소개했다. 이 글은 숀 보니 그린피스 수석 원자력전문가가 썼다.

기고문에서 숀 버니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할 계획이라며 한국을 비롯한 태평양 연안 국가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이자 ‘환경재앙’이라고 비판했다.

숀 버니는 “오염수 100만t을 바다에 흘려보내려면 17년에 걸쳐 물 7억7000만t을 쏟아부어 희석해야 한다”며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고 오염수를 방류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또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바다를 순환하기 때문에 태평양 연안 국가들도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숀 버니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자로 노심이 녹아내리면서 고준위 방사성 물질(용융 핵연료) 880~1140t이 생겼다. 여기에 지하수가 원자로로 흘러 들어가면서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로 탈바꿈돼 100만t 이상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가 생겼다. 이는 현재까지도 지하수가 원자로 밑으로 계속 들어와 그 양이 계속 불어나는 상황이다.

그는 “(아베 내각은) 고준위 방사성 물질 트라이튬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은 비싸다고 포기해 오염수를 처리하지 못하더니 이제 바다에 오염수를 버리려 하고 있다”며 “불리한 뉴스가 나오면 해명하기를 포기하고 아예 침묵한다. 모래 더미에 얼굴만 처박고 있으면 주변의 위협이 사라지리라 기대하는 타조 같다”고 거세게 비난했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막을 방법은 없다. 국제해양투기방지협약이 있지만 후쿠시마처럼 육상에서의 방사성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는 방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기고문을 공개하면서 “방사성 오염수 방류 계획은 후쿠시마 해역은 물론 태평양 연안 국가까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 행위”라며 “아베 내각이 우리 바다에 저지르려고 하는 환경재앙을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송혜수 인턴기자